[사회] [단독]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등 4명 구속영장

본문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14일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과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을 비롯해 삼부토건 주가조작 관련자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다. 주요 경영진에 대한 1차 소환조사를 마무리한 상황에서 구속 수사로 신속히 전환하겠단 뜻이다.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은 서로에게 주가조작 책임을 떠넘기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17524812437336.jpg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3일 서울 종로구 삼부토건 본사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후 압수품이 담긴 박스를 차량에 싣고 있다. 뉴스1

특검팀 첫 신병확보 시도도 삼부토건

14일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팀은 이날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등으로 이 회장과 조 전 회장, 이기훈 삼부토건 부회장 겸 웰바이오텍 회장, 이응근 전 삼부토건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진행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데도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외부에 알리는 방식으로 주가를 상승시켜 이익을 본 혐의다. 이기훈 부회장은 이일준 회장의, 이응근 전 대표는 조성옥 전 회장의 사람으로 분류된다.

지난 3일 삼부토건 본사 압수수색으로 특검팀 1호 수사를 시작한 데 이어 첫 번째 구속영장의 대상도 삼부토건 관련자가 됐다. 특검팀은 주가조작 혐의자들의 신병을 확보하는 대로 김 여사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이들은 한 차례 조사에서 모두 “김 여사와 이 전 대표를 알지 못 한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김 여사의 계좌관리인으로 알려진 이 전 대표가 2023년 5월 해병대 출신 지인 단체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고 말한 내용이 공개되면서 불거졌다. 이 전 대표의 ‘삼부 체크’ 언급 이후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참석하면서 삼부토건 주가가 급등했다.

“김건희 모른다” 부인·떠넘기기에 구속 수사 전환 

특검팀은 불구속 상태에서 이 회장과 조 전 회장 등에 대해 추가 조사를 이어가는 게 실익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가조작 관련자들이 모두 혐의를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검팀은 지금까지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과 대표, 웰바이오텍의 회장과 전 대표 등 7명을 소환 조사했다. 웰바이오텍은 이일준 회장이 최대 지분을 소유한 회사로, 삼부토건과 함께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분류돼 주가가 올랐다.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은 앞선 특검 조사에서 서로에게 떠넘기는 식으로 진술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 분류를 위한 작업을 자신이 주도한 게 아니라는 식으로 부인했다는 뜻이다. 이 회장은 2022년 삼부토건 인수 작업을 시작하면서 회장을 맡았지만, 조 전 회장의 지분이 상당 기간 유지됐다. 조 전 회장의 사람인 이응근 전 대표는 2024년까지 삼부토건에 근무했다. 특검팀은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이 일종의 공동경영 체제를 유지한 만큼 삼부토건 주가조작의 공범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17524812439437.jpg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왼쪽)과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이 10일 서울 종로구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사무실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삼부토건 주가는 2023년 5월 1500원대였다. 이후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이 열리고,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하면서 같은 해 7월엔 5500원까지 급등했다.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이 이를 통해 수백억원의 부당이득을 얻었다는 게 특검팀 판단이다. 특히 조 전 회장은 이 기간 삼부토건 보유 지분을 대부분 매도했다. 특검팀은 삼부토건 인위적 주가 부양을 위한 시도가 2022년 6월부터 시작했다고 본다.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현지 지방자치단체‧기업 등과 체결한 MOU가 허위였는지가 구속영장실질심사의 쟁점이 될 예정이다. 삼부토건이 체결한 MOU에 구체적인 내용이 없을 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재건과 관련해 실제 추진한 사업이 없다는 게 특검팀 판단이다. 특검팀은 삼부토건 관계자와 우크라이나 포럼을 주최한 유라시아경제인협회 관계자로부터 “MOU가 허위·과장됐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0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