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공의도 돌아올 결심, 17개월 의정갈등 마침표 코앞
-
5회 연결
본문

의대생이 전원 복귀를 선언하면서 전공의 복귀 시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14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걸어가는 의료진 모습. [뉴스1]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전공의들도 복귀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1년5개월째 이어진 의·정 갈등이 본격적인 출구 국면에 접어들지 주목된다.
14일 오후 5시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선 국회 보건복지위 위원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들이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주민 보건복지위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의대생이 복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이 흐름이 이어져 전공의들도 복귀하는 기반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성존 대전협 위원장은 “(전공의는) 중증·핵심 의료를 재건해 나가겠다”며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 현장의 사법리스크 완화는 미래 의료를 위한 중요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의 요구 조건을 구체화한 셈이다. 그는 “그간 사태로 환자와 보호자가 겪었을 불안함에 마음이 무겁다”며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국회의원과 대전협 비대위원들이 공식적인 ‘다대다(多對多)’ 회동을 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12일 의대생들의 복귀 선언 이후 전공의의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다. 학사 일정 조율 등이 필요한 의대생과 달리 전공의는 이달 말 예정된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통해 병원에 복귀할 수 있다. 사직 전공의 A씨는 “이제 다들 끝났다고 본다. 이 분위기라면 9월 복귀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현재 전국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2532명, 6월)는 의·정 갈등 이전(1만3531명)의 18.7%에 그친다.

김경진 기자
대전협은 기존 ‘7대 요구안’을 대신할 대정부 요구안을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인 안은 오는 19일 열리는 대의원총회에서 확정한다.
일부 전공의는 입영 특례나 전문의 추가 시험 기회를 요구한다. 하반기에 복귀하더라도 수련 마지막 연차인 전공의(레지던트 3~4년 차)는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을 치를 수 없다. 전문의 취득이 최소 1년 이상 늦어지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일부가 요구하는) 특례 조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전공의 요구안이 구체화하는 것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전공의 복귀가 결정되더라도 실제 복귀율이 높을지는 미지수다. 사직한 레지던트 8791명 중 5399명(61.4%)이 이미 의료기관에 일반의로 재취업했다. 수련을 포기한 이들도 일부 있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