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속보] 박정훈 “VIP 격노, 설 아닌 사실…책임자들 법적 책임질 것”

본문

17526434082028.jpg

채상병 사망 사건 초동조사 당시 수사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16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채상병 사망 사건 초동조사 당시 수사 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은 16일 이른바 ‘VIP 격노설’에 대해 “설이 아니라 사실로 규명됐다”며 “모든 것이 제대로 밝혀질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령은 이날 순직해병특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사건의 출발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약 2년 만에 VIP 격노설을 인정한 것에 대해 “결국 진실은 드러나며, 사필귀정이라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오는 19일이 채상병 사망 2주기라는 점을 언급하며 “아직도 그 죽음의 원인과 책임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현실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어 “특검이 여러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책임자들이 법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령은 이날 변호인단과 함께 특검에 출석했다.

특검은 이날 박 대령이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전해 들었다는 ‘VIP 격노설’의 구체적 내용과 함께,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수사기록의 이첩 및 회수 과정 전반을 확인할 계획이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대통령실 회의에서 채상병 사건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고 격노했고,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로 질책하며 조사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이다.

박 대령은 당시 김계환 전 사령관이 자신에게 해당 내용을 전달했다고 주장했으나, 김 전 사령관과 회의 참석자들은 관련 내용을 부인해 왔다.

박 대령은 2023년 7월 채상병 사망 사건의 초동 조사를 지휘했으며, 당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특정했다. 그러나 VIP 격노설이 제기된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이후, 군 수뇌부는 사건 이첩 보류를 지시했고, 결국 피의자 명단에서 임 전 사단장 등이 제외됐다.

박 대령은 이를 수사 외압으로 판단해 경찰에 사건을 이첩했고, 그로 인해 항명 혐의로 기소됐다. 이후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고, 특검이 항소를 취하하면서 무죄가 확정됐다. 최근에는 해병대 수사단장으로 복귀했으며 군사경찰 병과장 보직도 되찾았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79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