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로보틱스, 단순 로봇 제조업 아니다”
-
2회 연결
본문

“로보틱스는 기술로 공간을 바꾸고, 공간을 통해 사회를 바꾸는 활동입니다.”
현동진(사진)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장(상무)은 17일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국경제인협회 경영자 제주하계포럼’에서 “로보틱스는 단순한 로봇 제조업이 아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로보틱스랩은 현대차 연구개발(R&D) 본부 산하 조직으로, 2018년 신설돼 ‘인간을 향한 진보’라는 철학 아래 로봇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 상무는 “경영은 돈을 버는 게 아니라 철학을 실천하는 것”이라며 “기업인은 저출산 고령화, 노동력 부족, 산업 공동화 현상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 다음 세대에 넘겨주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현 상무는 과거 혼다의 아시모(Asimo), 소프트뱅크의 페퍼(Pepper) 등 유명 로봇이 사라진 이유에 대해 “대량생산에 실패했고, 많은 돈을 벌지 못했다. 지속가능성이 부족했던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로보틱스가 가야 하는 방향은 비싸지만 좋은 기술이 아닌, 쓸만하고 살 수 있는 기술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로보틱스랩의 대표적인 상용 제품은 산업용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다. 반복적으로 위를 봐야 하는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어깨 근력을 보조하는 로봇이다. 최근 대한항공 항공기 정비고에 보급되는 등 현장 업무에 본격 투입되고 있다.
마비·중풍 환자를 위한 보행보조 로봇 ‘메디컬 엑소스켈레톤 로보틱 시스템’, 여성·고령·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등도 로보틱스랩이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제품군이다. 현 상무는 “성공적인 신사업이 되기 위해선 반드시 공급망과 판매 서비스망의 선순환을 만들어야 한다”며 “선순환이 계속 커질 때 사회로의 파급 효과가 커지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