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각목·대나무 작대기로 수색”...동시 다발 폭우 피해에 실종자 수색 장비도 부족

본문

17530793264437.jpg

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모고리 모고마을에서 소방대원들이 실종자를 찾으려고 나무 각목을 들고 흙더미를 파헤치고 있다. 지난 19일 역대급 폭우로 이 마을에선 70대 남성이 토사에 휩쓸려 실종됐다. 안대훈 기자

푹, 푹, 푹…. 
21일 오전 7시쯤 경남 산청군 산청읍 모고마을. 탐침봉과 갈퀴, 삽 등을 든 소방대원 20여명이 발목 위로 쌓인 흙더미를 파헤치고 있었다. 마을 아래 논밭과 약 500m 떨어진 하천에 투입된 20여명의 소방대원도 마찬가지였다. 탐침봉 등 정식 장비마저 없는 대원들은 긴 각목과 대나무 작대기를 손에 쥔 채 구슬땀을 흘렸다. 이틀 전(19일) 수마(水魔)로 실종된 70대 남성을 찾기 위해서다. 현장에서 만난 소방대원은 “산청에 동시다발적으로 수해가 발생하다 보니 장비가 부족해 나무 막대기까지 써서 수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80여명이 사는 이 마을의 비교적 젊은 50~60대 주민 10여명도 수색을 거들었다. 앞서 수색을 돕던 박인수(61) 모고마을 이장은 “다리가 푹푹 빠지니 오른쪽 종아리에 피부병이 생길 정도”라고 했다. 지난 19일 내린 역대급 폭우로 이 마을은 쑥대밭이 된 상태였다. 토사와 바위, 건물 잔해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토사가 휩쓸고 간 마을 아래쪽에는 망가진 경운기 1대가 덩그러니 놓여 있기도 했다. 이런 잔해 속에 실종자를 찾고 있었던 것이다. 박 이장은 “오전 11시 50분쯤 산사태가 나기 전에 어르신(실종자)은 아내분과 함께 마을회관에 대피했었다”며 “그러다 잠시 집에 다녀오시겠다고 나간 지 10여 분 만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안타까워했다.

1753079326712.jpg

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모고리 모고마을 아래 논밭에서 한 소방대원이 나무 막대기를 들고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안대훈 기자

“동시다발 현장에 수색장비도 부족”   

이날 경남 산청에선 실종자 4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한창이었다. 산청군통합지휘본부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실종자가 1명씩 발생한 산청읍 모고리(70대 남성), 단성면 방목리(60대 남성), 신등면 율현리(80대 남성), 신안면 외송리(80대 남성) 일대에선 수색 지역별로 35명~50명씩 총 소방대원 172명이 투입, 경찰·군과 함께 수색 중이다. 이들 실종자는 폭우로 쏟아진 토사 등에 휩쓸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수색에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실종 추정 지역에서 실종자가 사흘째 발견되지 않아, 수색 범위가 점차 넓어지면서다. 게다가 산더미처럼 쌓인 토사와 수목 등 부유물, 바위를 제거하려고 굴삭기 등 중장비도 투입해야 하는 탓에 작업이 더딜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에 수색 당국은 열화상 드론을 띄우고, 수색견도 투입 중이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동원 가능한 인력을 모두 투입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하루빨리 실종자를 모두 찾길 모두 바라고 있다”고 했다.

17530793269536.jpg

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모고리 모고마을에서 소방대원들이 수색 작업을 준비 중이다. 안대훈 기자

실종자 4명 언제쯤…도로·농작물·

이번 호우로 현재까지 산청에서 확인된 호우 피해 관련 사망자는 10명이다. 전날 오전까지 8명이었지만, 실종자 2명이 숨진 채 발견되면서 2명 더 늘었다. 이외에도 행정당국은 도로 파손 등 공공시설 73건, 건물 파손 등 사유시설 27건, 농작물 침수 320㏊ 등 약 552억원의 재산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파악했다. 원예 시설은 딸기(84㏊)가, 농작물은 벼(180㏊) 피해가 가장 컸다.

침수 우려와 산사태 위험 등으로 총 1402가구 1817명이 대피해 이 중 1042가구 1300명은 귀가, 360가구 517명은 여전히 대피 중이다.  56개 마을 2656가구는 아직 단전 상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6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