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건설업 일자리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감소…건설 부진에 고용 ‘빨간불’

본문

건설업 불황이 고용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줄었다.

17530895515129.jpg

건설업 부진이 이어지며 올해 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가 1999년 상반기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사진은 1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단지 모습. 뉴스1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 1~6월(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는 193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6000명 감소했다. 외환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1999년 상반기(-27만4000명) 이후 26년 만의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9년 하반기(-10만6000명)보다 감소 폭이 크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하반기에도 10만2000명이 줄었다. 취업자 수 감소가 계속되며 건설업 부문 취업자 수는 5년 만에 다시 200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2016년 하반기(192만6000명)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특히 올 상반기 건설업 분야의 고용 부진은 50대 중장년층(-6만8000명)과 20대 청년층(-4만3000명)에 집중됐다. 20대는 신규 채용 감소, 50대는 구조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고금리ㆍ고물가 등으로 인해 건설업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건설기성(공사실적)은 지난해 2분(-3.1%) 이후 4개 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18일 건설동향브리핑을 통해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 상황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7년 8월 이후 가장 좋지 않다”고 평가했다.

건설업은 고용과 생산 유발 효과가 크다. 그만큼 국내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는데, 이 중 건설투자가 끌어내린 성장률은 -0.4%포인트에 이른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7월 경기동향 보고서에서 “건설업 부진과 미국 관세 인상이 지속적인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사회간접투자(SOC) 예산 8475억원을 추가로 반영했다.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한 조치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22년까지 건설업 호황으로 인한 공급 과잉의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지방 부동산 경기가 다시 살아나거나 대규모 주택 공급이 진행돼야 건설 경기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민생쿠폰 등으로 소비 진작을 하려 해도 고용 등에 큰 영향을 주는 건설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 경기 회복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8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