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오지마” 그래도 갔다…치매노인에 새 삶 준 공무원

본문

17531975112817.jpg

독거노인 조모씨와 필담을 나누는 박도원 돈암1동주민센터 주무관(오른쪽). [사진 성북구]

“아버님, 그래도 이렇게 치우니까 어때요?” “좋은니다(좋습니다).”

박도원(37) 서울 성북구 돈암1동주민센터 주무관이 청각장애와 치매를 앓고 있던 독거노인 조모(81)씨와 나눈 필담이다. 이런 대화를 나누기까지 장장 6개월이 걸렸다.

지난 17일 꽉 닫혀 있던 조씨의 집 문이 마침내 열렸다. 돈암1동주민센터 주도로 쓰레기로 가득 찬 집 청소와 방역을 끝냈다. 민관이 협력해 식사부터 병원 동행까지 조씨의 일상회복을 도왔다.

박 주무관이 조씨의 상황을 처음 인지한 것은 지난 2월이었다. 성북구청에서 돈암1동주민센터로 근무지 옮긴 지 한 달여가 지났을 때다. 기초생활수급자인 조씨는 정기 모니터링 대상자였지만 연락이 잘 안 됐다. 긴급복지를 담당하는 박 주무관은 “어르신의 상태를 확인한 뒤, 바로 내부 회의를 거쳐 긴급복지 사례대상자로 선정하고 소통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문전박대를 당했다. 조씨는 문 여는 것조차 거부했다. 어쩌다 열린 문틈으로 말을 건네면 “가라”고 소리 질렀다. 홀로 사는 집 안은 쓰레기로 가득 차 있었다. 그래도 계속 찾아가자 문은 조금씩 열렸다. 3월 초인종 소리를 듣지 못하는 조씨의 방안에 청각장애인 신호장치를 설치했다. 조씨에게 무료급식 밑반찬 배달을 하는 길음종합사회복지관에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했다. 현관 문고리에 반찬을 걸어두는 대신, 집 안에 놓고 식사를 했는지까지 확인하기로 했다. 사단법인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우유배달’에서 무료 우유배달도 하기로 했다. 박 주무관은 “반찬과 우유배달을 통해 매일 어르신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조금씩 소통이 가능해지자 박 주무관은 조씨와 함께 병원에 갔다. 치매·당뇨·디스크 진단이 나오자, 이를 토대로 주민센터가 직권으로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했다.

조씨가 끝까지 허락하지 않았던 것은 집 청소였다. “내 집은 내가 치우겠다”며 완강히 거부했다. 그렇다고 쓰레기로 가득한 집을 그대로 둘 수는 없었다. 박 주무관은 조씨를 계속 설득해 청소와 방역을 했다. 길음종합사회복지관이 침대와 매트리스를 후원했다.

성북구에 사는 독거노인은 2만1198명이다. 성북구 노인 인구의 24.8%에 달한다. 박 주무관은 “돌봐줄 곳 전혀 없는 독거 어르신의 제일 가까이에 있는 게 주민센터”라며 “저희가 ‘최후 안전망’이라는 마음으로 찾아갔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4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