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0년 만에 빈 소녀상 옆자리, 일장기 든 우익단체가 차지해

본문

‘평화의 소녀상’ 앞 노숙 농성을 하던 진보성향 시민단체가 철수하자 극우 단체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가 사기극이라 주장하며 그 빈자리를 차지했다.

17532539942533.jpg

23일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부근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가 거짓이라 주장하는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국민계몽운동본부 등이 주최한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일대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1710차 정기 수요시위와 극우단체인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의 수요시위 반대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국민계몽운동본부,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등 극우단체들은 소녀상 양옆에서 일장기를 들고 집회를 진행했다. 이들은 ‘소녀상도 위안부도 대국민 사기’라고 적힌 손팻말도 들었다. 이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여명이 참석했다.

극우단체들이 집회를 진행한 자리는 지난 2015년 12월부터 시민단체 반일행동이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반발해 노숙 농성을 이어온 곳이다. 반일행동은 최근 대표인 정 모 씨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돼 조사받고 석방되는 등 수사가 이어지자 이에 반발하며 지난 19일 소녀상 앞 농성을 중단했다.

정의연은 이날 소녀상에서 150m 떨어진 거리에서 수요시위를 열고 수요시위를 진행했다. 정의연의 수요시위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명이 참석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2019년부터 수요시위를 방해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부정하며 피해자들과 수요시위 참가자들을 모욕하고 공격해 온 자들의 망동도 끝날 줄을 모른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오늘도 저쪽에서 일장기를 흔들며 극우 집회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국가인권위원회 침해구제 제2소위원회는 지난 4월 서울 종로경찰서장에게 보수단체의 수요시위 반대 집회 등에 대해 경찰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권고했다. 인권위는 결정문에서 “수요시위 반대 집회 측에서 지나친 스피커 소음 등을 일으켜 집회를 방해하거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에 대한 명예훼손·모욕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에서 중지 권고 또는 경고하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81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