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시바 “관세이행 중요” 버티기…당내선 “사임해야”

본문

17532876897715.jpg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23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자들에게 미국과의 관세협정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20일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에 대한 퇴진 압박이 거세다.

이시바 총리는 23일 자민당 본부에서 아소 다로(麻生太郎),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등 3명의 전직 총리를 1시간20분간 만나 미·일 관세 합의 결과 등을 설명했다. 전직 총리를 한꺼번에 만나는 건 지극히 이례적이다.

회담 후 이시바 총리는 “거취에 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 결코 당이 분열돼선 안 된다”며 사퇴를 강력히 부인했다. 일부 일본 언론이 보도한 ‘8월 퇴진설’과 관련해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 일·미 합의가 확실하게 이행되도록 대응하는 것이 현재로선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지통신은 “참의원 선거 결과를 마무리한 뒤 8월 퇴진할 것”이라는 자민당 간부의 발언 내용을 보도했다. 현재로선 관세 협상 타결 후 여론의 반응 등을 보면서 거취를 판단하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그러자 자민당 내에선 ‘이시바 끌어내리기’ 움직임이 본격화했다. 옛 모테기파 의원들은 22일 ‘양원 의원총회’ 개최를 요구하는 서명을 받기로 했다. 양원 의원총회는 전당대회에 버금가는 의사결정 기관으로, 당 소속 국회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으면 개최할 수 있다. 총회가 개최되면 이 자리에서 총리 퇴진을 의결할 수도 있다. 원래 이시바 총리의 지지 기반이었던 지방 조직에서도 속속 사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에는 한국의 대통령 탄핵에 해당하는 총리 파면 시스템이 없다. 대신 자민당에 총재 리콜 규정이 있다. 자민당 당규에 따르면 당 소속 국회의원과 도도부현련(지자체연맹) 대표의 과반수가 요구할 경우 총재 선거를 앞당길 수 있다. 현재 여당인 자민당 총재가 총리를 맡고 있기 때문에 조기 총재 선거가 결정되면 총리는 물러나야 한다.

이 같은 퇴진 압박의 배경에는 지난해 10월 중의원 선거와 지난 6월 도쿄 도의회 선거에 이은 선거 3연패에도 총리가 물러나지 않는 것을 국민들은 용납하지 못한다는 강한 위기감이 있다. 요미우리신문이 2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총리는 사임해야 한다”는 응답이 54%나 됐다. 특히 18~39세 응답자들의 사임 지지 여론은 67%에 달했다.

2007년 참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총리가 연임을 선언하자 “국민은 당신이 그 자리에 있는 걸 원치 않는다”고 한 이시바 총리의 발언도 TV와 SNS를 통해 회자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6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