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비는커녕 흙 더 쌓였다" 오송참사 2년, 미호강 또 범람 위기 [르포]

본문

17533883638683.jpg

24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미호강 일원 하천 모습. 김성태 객원기자

“섬 같다” 미호강교 하류 곳곳 퇴적층

지난 23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미호강 파크골프장. 미호강과 병천천 합류 지점에서 약 3㎞ 하류에 있는 강변 체육시설로 지난주 폭우 당시 물에 잠겼던 곳이다. 이 주변은 상류에서 뿌리째 뽑혀 쓸려내려 온 수풀과 각종 쓰레기가 또 다른 나무에 걸려 있었다. 주민 송모(74)씨는 “비가 그치고 난 뒤 엿새째 파크골프 동호회 회원들과 잡목과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며 “하천에 오랫동안 쌓인 흙과 나무가 물막이 역할을 하면서 강물 흐름을 방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오송읍 미호강 일원은 수해 피해가 잦은 곳이다. 이번 폭우 때도 미호강교에 홍수경보가 발령돼 주민 70여 명이 대피했다. 2017년 미호강 지류인 병천천이 범람하면서 호계리 농경지와 주택이 침수 피해를 봤다. 2023년엔 미호강교 쪽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미호강물 범람으로 침수되면서 13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날 찾은 미호강 현장은 2년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고속철도가 지나가는 교각 인근과 미호강교 하류, 병천천을 끼고 있는 호계리 쪽 강바닥에 수풀이 많았다. 나무가 많이 자란 곳은 육지와 구별이 안 될 정도였다.

17533883641113.jpg

지난 23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미호강 일원. 최종권 기자

주민들 “흙·수풀이 물막이 역할…준설 필요”

김모(81)씨는 “오송지하차도참사, 농경지·주택침수 등 2년 전 큰 물난리를 겪으며 대대적인 하천 정비를 기대했지만, 별 차이가 없었다”며 “섬처럼 흙이 쌓인 곳은 숲처럼 변하고 있다. 비만 오면 강물이 넘칠까 봐 걱정된다”고 했다. 호계리 주민 전모(74)씨는 “예산이 없어서 하천 준설을 못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충북도와 청주시는 지난해 4월과 9월 지역 국회의원 간담회에서 “미호강 준설을 위해 국비 116억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범람 위험이 있는 미호강교~미호대교 5.5㎞ 구간 97만t의 퇴적토 준설이 필요하다는 게 충북도 판단이다.  미호강은 음성군 삼성면에서 발원해 진천군·증평군·청주시를 지나 세종시로 흐른다. 충북도 관계자는 “미호강 일원은 여러 지류에서 온 강물이 합류하는 곳이라 준설이 필요한 곳”이라며 “환경부와 금강유역환경청에 여러 차례 준설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국가하천인 미호강은 환경부 산하 금강유역환경청이 관리한다. 다만 수목제거와 시설물 개보수 등 하천 유지관리 책임은 충북도를 거쳐 청주시에 재위임된 상태다. 지난해 미호강교쪽은 제방 등을 만들면서 강폭을 기존 350m에서 610m로 확대해 강물이 흐를 수 있는 단면은 늘렸지만 물 흐름을 돕는 퇴적토 준설은 국비 배정 부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17533883643535.jpg

24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미호강 일원 하천 모습. 김성태 객원기자

지난해 일부 준설…청주시 “준설 예산 없다”

청주시에 따르면 오송 참사가 난 이후인 2023년 10월과 12월 미호강·무심천 수목 제거(9.7㎞)와 풀 깎기 등 유지관리 예산으로 국비 14억8000만원이 배정됐다. 이듬해 5월엔 5억원을 들여 미호강 일원 8.6㎞ 구간에 수목제거 사업을 완료했다. 하천 준설 사업은 지난해 8월부터 미호강교 하류 3곳에서 진행했다.

2차례에 걸쳐 11억5000만원을 들여 퇴적토 7만5000㎥를 제거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충북도와 청주시가 요구한 양(97만㎥)의 7.7% 불과하다. 올해 미호강 퇴적토 제거 사업은 진척이 없다. 청주시 국가하천팀 관계자는 “지난해 국비 11억여 원을 배정받아 퇴적토가 많이 쌓인 곳을 중심으로 준설 작업을 했지만, 워낙 유역 면적이 넓어 사업 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라며 “올해는 하천 준설 예산을 배정 받지 못해 퇴적토 제거가 어렵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금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지난 5월 진행한 국가하천 유지관리 예산 집행계획 2차 조사에서 청주시는 무심천·미호강 퇴적토 제거 예산으로 5억원을 요구했었다”며 “예산 사정이 넉넉지 않아 하천 정비 예산으로 4억원을 배정했는데 이 중에는 퇴적토 제거(준설) 예산 2억5000만원이 포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공문에 ‘퇴적토 제거 예산’이라고 명시가 돼 있지 않았다. 4억원은 수목 제거에 쓰기에도 부족한 예산”이라고 호소했다.

17533883646059.jpg

2023년 7월 16일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실종자 수색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강유역환경청은 충북도가 요구한 미호강 116억원 규모의 준설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 규모가 100억원이 넘기 때문에 2026년께 수립할 ‘미호강 하천기본계획’에 맞춰 정비 준설이 필요한 사업”이라며 “미호강 준설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2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