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전기차 사면 '환경보호' 기여? 디지털 시대의 또 다른 실상[B…
-
7회 연결
본문

책표지
파워 메탈
빈스 베이저 지음
배상규 옮김
까치
몇 해 전 처음 전기차를 사고 "환경보호"에 기여한다고 자부했던 지은이는 이내 다른 현실을 직시한다. 전기차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지만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기 대부분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에서 온다. 재생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송전하는 과정 역시 지구에서 캐낸 각종 금속이 필요하다. 이런 과정에서 환경 파괴는 물론 비참한 강제 노역 등이 벌어진다.

이달 23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전기차 충전소 'Punkt E' 전경.[EPA=연합뉴스]
전기차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전자기기가 일반화된 시대, '전기-디지털' 시대의 또 다른 실상이다. 책에 따르면 약 130g 무게의 아이폰 1대를 만들려면 약 35kg의 광석을 캐야 하고, 이를 분쇄해 금속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탄소 약 45kg이 배출된다.
언론인인 지은이는 자료와 서적에 더해 세계 각지의 현장을 찾아간다. 그러면서 희토류, 구리,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이 왜 지금 시대에 귀한 대접을 받게 됐는지, 각각 지구촌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는지 산업적 실태와 국제적 상황을 여러 비극적 사건을 포함한 사회적 문제와 함께 조명한다. 사막의 염수에서 리튬을 채취하는 새로운 시도, 세계적 우려에도 심해를 새로운 채굴처 삼으려는 사업가까지 찾아간다. 하지만 이 책이 매번 강조하는 대로 '모든 일에는 대가가 따르는 법'.
책은 그래서 '재활용'으로도 향한다. 도시의 전자 폐기물에서 돈이 될 재료를 모으는 사람들, 상대적으로 비용이 싼 국가로 이동시켜 가공하는 등 '역공급망'의 흐름, 이런 과정의 문제 역시 조명한다.

지난 4월 16일 인도네시아 북말루크섬 동부 지역의 니켈 광산과 인근의 숲 모습, 원주민 부족인 보쿰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순찰하며 자신들의 숲을 위협하는 광산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재활용보다 한 수 위는 '재사용'. 지은이는 과거 애플이 그랬듯이 자가 수리를 막는 제조업체들과 이를 바꿔 놓은 사회적 압력과 제도 역시 주목한다. 또 중고 배터리나 구형 디지털 기기가 어떤 식으로 다시 사용되고 있고, 사용될 수 있는지 전한다.
이른바 '핵심 금속'에 대한 풍부한 상식을 주는 것은 물론 고쳐 쓰고 다시 쓰는 것이 지난 시대만의 미덕이 아니라는 걸 실감하게 하는 책이다. 다시 자동차로 돌아가면, 지은이의 제언은 상식적이다. 집집마다 차를 소유할 필요가 없는 대중교통망과 자전거를 포함해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