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힘 감사위, ‘후보교체’ 권영세·이양수 당원권 정지 3년…총선 출마 막히나

본문

17534282138349.jpg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월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단일화 관련 기자간담회에 앞서 물을 마시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회가 6·3 대선 당시 ‘후보 교체 시도’를 주도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대통령선거관리위원장에게 각각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청구키로 했다. 당 윤리위원회에서 징계가 그대로 확정되면 2028년 4월 예정된 23대 국회의원 선거에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할 수 없게 된다.

유일준 당무감사위원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김문수 대선 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당무 감사 결과 브리핑에서 이 같은 징계 방안을 당 윤리위에 청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당헌 74조 2항을 근거로 후보 교체를 시도한 것은 당헌·당규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했다. 국민의힘 당헌 74조 2항은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대통령 후보자 선출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후보자선거관리위원회가 심의하고 최고위원회의(비상대책위원회) 의결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김문수 당시 후보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강제 교체하려다 불거졌다. 권 전 위원장 등의 주도로 지난 5월 10일 새벽 비대위와 선관위에선 후보를 교체하는 안건이 다뤄졌고, 후보 자격은 박탈됐다. 김 전 후보가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 당헌 74조 2항에 규정된 ‘상당한 사유’에 해당한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한 전 총리로의 후보 교체 안건이 당원 투표에서 부결되자 교체 시도는 중단됐다.

17534282140317.jpg

국밈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가 6월 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과 대화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유 위원장은 “경선을 통해 당선된 후보를 경선 절차에 참여하지 않은 후보와의 단일화에 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교체를 시도하다가 실패한 대한민국 정치사 초유의 사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헌 74조 ‘선출 후보의 당무우선권 조항’에 따라 후보의 의사에 반해 단일화를 진행할 수 없다”며 “후보가 사망하거나 사고 등으로 후보직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 선출된 후보자의 동의를 얻어서나 가능하다”고 했다.

후보 교체 시도가 새벽 시간대 이뤄진 부분도 문제 삼았다. 유 위원장은 “한 전 총리에 미리 연락해서 서로 준비하고 접수하기로 한 것은 당원과 국민이 납득하지 못한 사태가 아니었나 생각된다”며 “당헌·당규에 근거가 없는 불법 행위”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5월 10일 새벽 2시 30분 김 후보의 선출을 공식 취소하고 ‘후보자 등록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는데, 등록 시한을 같은 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으로 정하면서 당원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

17534282142324.jpg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5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대선후보 사무실에서 회동을 마친 뒤, 포옹하고 있다.

국민의힘 윤리위가 당무감사위 요청대로 징계를 확정하면 권 전 위원장과 이 전 위원장은 2028년 4월 예정된 총선에 국민의힘 간판을 달고 출마할 수 없게 된다. 당 핵심 관계자는 “후보 교체 사태란 파동에도 그간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았다”며 “다음 총선에 불출마해 백의종군하라는 뜻”이라고 했다.

권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수용할 수 없다”며 “반드시 바로잡힐 것으로 확신하고, 이런 파당적인 결정을 주도한 사람들이야 말로 응분의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양수 전 위원장도 중앙일보에 “당시 의원들이 동의해 진행한 사안이고, 비대위 의결을 거쳤다”며 “당 윤리위에서 바로 잡아줄 것”이라고 했다.

권 전 위원장과 함께 ‘쌍권’으로 불리며 당시 당을 이끌던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징계 대상에서 빠졌다. “특별히 선관위원장이나 비대위원장만큼 책임질 만한 행위를 한 일은 없다”(유 위원장)는 이유였다. 유 위원장은 김 전 후보가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태도를 바꾼 것과 관련해선 “당헌·당규상 처벌 규정이 없다”고도 했다.

징계 대상에서 빠진 권 전 원내대표는 반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서 “당무감사위가 결과론적 시각에서 (가처분 기각 판결을 내린) 법원의 판단을 넘어선 자의적 해석을 내놨다”며 “당무감사위는 이번 사안 못지않은 중대 현안들에 대해서는 현 위원장 임기 내내 단 한 차례도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는 조사기관의 중립성과 공정성이 이미 크게 훼손되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무감사위에 요청한다”며 “저 역시 함께 징계 회부하라. ‘내가 봐준다’ 식 위원장의 자의적 면죄부 뒤에 숨지 않겠다. 표적 징계 역시 두려워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동안 옛 친윤계로 불리는 주류 측에선 유 위원장에 대해 “한동훈 전 대표와 가까운 인사라 공정성이 의심된다”는 주장을 펴왔다. 권 전 원내대표가 주장한 ‘유 위원장 임기 내내 단 한 차례도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사건’은 한 전 대표가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당원 게시판 사건’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무감사위의 중징계 요청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선 윤리위가 중징계 요청을 그대로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또한 8·22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만큼 새 대표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새로 구성된 윤리위의 징계 수위도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17534282144207.jpg

11일 강원 속초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속초시 콤팩트시티 사업 설명회에서 국민의힘 소속 이양수 의원이 지역 주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4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