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동영 통일장관 첫 일정으로 판문점행...北향해선 "강대강 시대 끝내자" 제의
-
7회 연결
본문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이 25일 취임식을 앞두고 판문점을 찾아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통일부 제공, 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첫 번째 공식 일정으로 판문점을 방문했다. 남북 간 연락채널을 복원해 우발적인 충돌을 막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던 그의 소신 행보로 풀이된다.
정 장관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의 임명안 재가가 이뤄진 직후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판문점을 찾았다. 그는 이 자리에서 "남북대화 재개와 조속한 신뢰 회복을 위해 서는 단절된 남북 간 연락채널 복원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어 유엔사 등 관계자들과 함께 자유의집·평화의집 시설 등을 방문해 장기간 단절된 남북 연락채널 현지 상황을 점검했다. 판문점은 1971년 남북적십자 접촉을 시작으로 2018년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해 총 370여 차례의 남북 간 회담이 열렸던 장소다.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이 25일 취임식을 앞두고 판문점을 찾아 남북 연락 채널을 점검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연합뉴스
전문가들 사이에선 정 장관이 남북 간 대화를 상징하는 공간인 판문점을 취임 첫 일정으로 찾은 것을 두고 한반도에서 적대적인 대결 상황을 종식하고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앞서 정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첫 통일부 수장으로 지명된 직후인 지난달 25일 종로구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에서 기자들과 만나 "갈등을 풀어야 적대와 대결을 딛고 다시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재진입할 수 있다"며 "남북 간 연락 채널을 복원해 우발적인 충돌을 막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북한을 향해 강대강의 시간을 끝내고 선대선의 원칙에 입각해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다시 열어 나가자는 제안도 내놨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4대 정동영 통일부 장관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정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북측 당국자를 향해 "남북관계는 불일부이(不一不二)의 관계,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닌 관계"라며 "이제 강대강의 시간을 끝내고 선대선의 시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의 정신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엉킨 실타래를 푸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함께 옷 한 벌을 지어 입자"면서다.
그러면서 "올해 12월26일은 시인 김소월이 진달래꽃을 펴낸 지 100년이 되는 날"이라며 "이런 경사를 남과 북이 함께 누려야 한다. 진달래꽃 100년 공동 행사를 같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 일이겠는가"라고 덧붙였다.
또 정 장관은 "이제 '정책적 대전환'을 통해 실종된 평화와 무너진 남북관계를 일으켜 세워야 한다"며 '남북간 평화 공존', '평화 경제와 공동성장', '국민주권 대북정책'으로 구성된 3대 대북정책 방침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통일부 장관으로서 기회가 주어진다면 '한반도평화특사'의 역할도 적극 해 나갈 것"이라며 "한판도 평화체제의 문을 함께 열어나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4대 정동영 통일부 장관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통일부 조직에 대해서는 "축소되고 왜곡됐다"며 "조직의 정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내란을 통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무너뜨리고 통일부 무력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의 마지막 버팀목까지 부러뜨렸다"며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복원, 이를 위한 통일부 정상화는 시대적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직 역량의 회복, 조직 문화의 치유, 조직의 성장을 약속했다.
이와 관련, 정 장관은 이날 취임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남북회담과 교류·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대폭 축소된 통일부 정원을 "되돌려 놓는 것이 먼저 할 일"이라고 말했다.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관련 기능을 행안부 등으로 이관하는 통일부 개편안에 대해선 "앞으로 논의해 가겠다"며 "탈북민에 대한 정부의 서비스도 탈북민 입장에서 봐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한 질문에는 "우선순위는 아니다"라고 답하며 선을 그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