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피처폰 제조사의 놀라운 변신...美무기 이긴 '해머' 만든 사프…
-
4회 연결
본문
프랑스는 우주·항공 산업 강국이다. 미국·러시아·중국·영국과 함께 전투기를 다른 나라로 수출한다. 프랑스 전투기는 프랑스 엔진으로 난다. 다른 유럽 국가와 손잡은 뒤 미국과 함께 전 세계 민항기 시장을 둘로 갈랐다. 유럽을 이끌며 우주에도 도전하고 있다.

사프란의 전신인 사젬의 피처폰. 한때 프랑스 국민폰이었지만, 스마트폰에게 자리를 내줬다. 위키피디아
프랑스의 우주·항공 저력이 뭘까. 이달 초 찾은 프랑스 마시(Massy)의 사프란 E&D(Safran Electronics & Defense) 연구소에서 그 단서를 찾았다. 마시는 파리에서 차로 30~40분 남쪽으로 내려가면 나오는 도시다. 마씨(massy)라는 소도시가 나온다. 한국이라면 김포 정도의 위치다. 그리고 프랑스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이 취항한 오를리 공항이 마시에 있다.
사프란 E&D는 우주·항공·방위산업 기업인 사프란의 전자·방산 전문 자회사다. 프랑스의 우주·항공 업체 하면 민항기를 만드는 에어버스(유럽 합작), 전투기로 유명한 다쏘, 발사체 전문의 아리안 그룹(유럽 합작)은 잘 알려졌다. 사프란이라니. 향신료 사프란(Saffron)과 비슷한 이름(Safran)을 가졌으니 생활용품 회사로 착각할 수도 있다.

사프란 E&D 마시 캠퍼스. 연구소가 이곳에 있다. 사프란
사프란이 2005년 출범했을 때 사명을 공모했는데, 사프란은 프랑스어로 방향타를 뜻하며 동시에 향신료 사프란이다. 방향·전략을 암시하면서, 대항해 시대를 촉발한 매개가 향신료였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사프란은 완성품이 아니라 다양한 부품과 구성품으로 돈을 벌고 있다. 백윤형 사프란 코리아 부사장은 “사프란은 항공기 시트와 중형 민항기 엔진, 랜딩기어, 기내 키친·화장실 등 콕핏 인테리어론 글로 1위를 자랑한다”며 “한국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오션, 현대위아, 대한항공, HD현대중공업 등이 사프란의 고객사”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Su-25에 장착된 AASM 해머. 해머는 재밍을 극복하고 러시아의 핵심 목표를 정확하게 때려 유명해졌다. 유튜브 @Мазут Сдэшный 캡처
이렇게 해서 사프란은 지난해 273억 유로(약 44조 3000억원)를 벌어들였다. 30개국에서 10만명 이상의 인력이 사프란에서 일하고 있다. 한 해 연구개발(R&D) 비용만 19억 8000만 유로(약 3조 2000억원이다.
방산은 사프란의 양대 축이다. 특히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사프란의 제품이 국산 무기 어디에 들어갔을까. 해군의 최신 잠수함인 장보고-Ⅲ(도산안창호급)의 비관통형 잠망경이 사프란 것이다. 해군 수상함의 관성항법장치(INS)와 육군의 소형 무장헬기인 미르온의 엔진도 사프란에서 사들였다. 대형 수상함 독도함의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도 사프란 제품이었는데, 얼마 전 국산 장비로 교체하기로 결정됐다.
사프란의 가장 대표적 상품이자 자존심은 스네크마 M88이다. 프랑스의 4.5세대 전투기인 라팔의 심장이 스네크마 M88이다. 이 엔진은 애프터 버너를 켜지 않고도 음속을 돌파할 수 있는 수퍼크루징(초음속 순항)이 가능하다.
사프란은 프랑스 곳곳에 연구·생산 시설을 가졌는데, 그중 마시 연구소는 방산 분야의 핵심이다. 사프란 E&D는 방산업체 답게 보안이 철저했다. 입장할 때 촬영을 못 하도록 휴대폰 카메라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했다. 방문 장소도 주요 제품을 전시하는 쇼룸으로 한정했다.
작은 쇼룸엔 사프란의 액추에이터(구동기)에서부터 비관통형 잠망경, 전자광학 장치까지 등 다양한 제품이 가득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게 한가운데 자리 잡았다. AASM 해머. 무유도 폭탄(일명 ‘멍텅구리 폭탄’)에 달면 80㎞를 날아가 정밀폭격하도록 만들어주는 유도폭탄 키트다. 부스터의 힘을 받아 저고도에서 활공거리가 길고, 산과 같은 장애물도 넘어갈 수 있다. 해머의 가장 큰 장점은 GPS와 함께 INS의 유도를 받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GPS 재밍(전파방해) 속에서도 프랑스가 지원한 해머는 러시아군의 핵심 목표물을 정확하게 때렸다.

사프란의 펠린을 착용한 프랑스 육군. 사진은 구형이며, 최근 더 가볍고 간편한 제품이 나왔다. 위키피디아
사프란이 자랑하는 제품으론 펠린(FÉLIN)도 있다. 펠린은 프랑스 육군의 차세대 보병 전투 시스템이다. 펠린은 방탄복·헬멧·사격 통제 시스템·야간 투시경·무선 통신 장비 등을 통합해 보병의 전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9년 배치가 시작돼 아프가니스탄에서 실전 검증을 받았다. 중고도 무인 정찰기인 패트롤러(Patroller)도 사프란이 밀고 있는 제품이다.
해머·펠린·패트롤러와 같은 무기 체계는 사프란의 주력이 아니다. 전자광학 장치나 INS 등 구성품에서 사프란의 강점이 있다. 사프란의 전자 분야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브루노 막셰디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훈을 받아들여 GPS를 보완하는 INS가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사프란은 미국의 하니웰·노스럽그루먼 다음 가는 3위의 INS 제조사다.
사프란의 INS 기술력을 잘 보여주는 게 해머다. GPS의 유도를 받는 미국의 JDAM(합동정밀직격탄)이 러시아의 재밍에 헤매고 있을 때 프랑스의 해머가 맹활약했다. 백윤형 부사장은 “유럽의 다국적 미사일 제조사인 MBDA도 사프란의 고객”이라며 “사프란이 MBDA의 제품과 겹치지 않으면서도 프랑스 공군의 수요를 고려해 나온 게 해머”라고 말했다.
한마디로 에어버스와 다쏘가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배경엔 사프란이 있는 셈이다. 사프란은 기술력과 생산력을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 개별 시장을 하나씩 석권하고 있다.
사프란의 시작은 1915년 프랑스의 엔진 전문사인 놈(Gnome)과 론(Le Rhône)이 합쳐져 탄생한 놈-론(Gnome et Rhône)이다. 이 회사가 1945년 국영화해 스네크마로 이름을 바꿨다. 그리고 스페인의 이스파노-수이자, 프랑스의 소카타를 인수했다. 이후 메시에·다우티·SEP·리니날·터보메카·마이크로터보 등 기술이 뛰어난 엔진·부품사를 사들여 몸집을 키웠다.
가장 결정적인 게 2005년이다. 스네크마는 프랑스의 통신·전자 회사인 사젬(SAGEM)과 합병했다. 사젬은 한때 프랑스의 국민 핸드폰을 만들었다. 그러나 핸드폰 시장이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뀌면서 사젬은 뒤쳐지기 시작했다. 그러자 프랑스 정부가 나서 스네크마와 사젬의 합병을 주선했다.

사프란의 중고도 무인기 패트롤러 해상형. 사프란
이때 사젬의 창업주 일가는 경영에서 물러났다. 스네크마의 엔진, 사젬의 전자, 그리고 인수한 회사들의 부품 경쟁력이 한데로 모인 게 지금의 사프란이다. 사프란은 최근 AI(인공지능)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AI 방산 스타트업인 프렐리젠(Preligens)을 인수했다.
권홍우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 고문은 “우리나라가 독자적 우주·항공 생태계를 만들려면 사프란과 같은 기업을 키워야 한다”며 “시장과 기업에만 맡기기엔 한국 시장이 너무 작고 여건도 안 된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이를 뒷받침하는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5년 KPF 디플로마 우주항공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