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최동석에 발끈한 친문, 與 지도부 노심초사…대통령실 “낙마 없다”

본문

17536043907215.jpg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 지방시대위원장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임명장 수여를 돕고 있다. 연합뉴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과거 발언이 일으킨 더불어민주당 내부의 난기류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백승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27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에게 “최 처장에 대한 우려는 당에서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상태”라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과거 언행들에 대해서는 (최 처장이) 진정성 있게 사과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퇴 여부에 대해서는 대통령께 임명권이 있는 만큼 대통령실에서 국민 여론을 수렴해서 판단하실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 대변인은 1시간 20여분 뒤 기자단에 발송한 입장문에서 발언의 취지를 “대통령께서 인사혁신의 의지를 가지고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한다. 최 처장 본인이 과거 언행에 대해서는 소명할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바로잡았다.

백 대변인의 정정에도 불구하고, 최 처장을 둘러싼 논란을 당 지도부가 가볍게 보지 않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더불어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26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최 처장이) 우리 당 내부의 마음을 찢는 이야기를 많이 했다”며 “친문(친문재인계)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면 일부 당원들도 합세하고 자칫 내부 분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 처장이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과 그 주변 인사들을 비난한 발언들이 지난 21일부터 언론 보도를 통해 환기되자 친문재인계는 발끈했고, 당 중진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최 처장은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스스로 개발한 APM(역량진단지수) 평가 결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70점”이라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의 7대 인사 원칙을 “멍청한 기준”이라 말하며 “(문 전 대통령이)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도 했다. 반면 최 처장은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선 “(APM) 96점”이라 말했고, “(임기) 5년은 짧다. 10~20년은 해도 된다”, “보통 사람이 아니다. 하늘이 낸 사람”이라는 등 아첨성 발언을 쏟아냈다. 한때 최 처장의 저격 대상은 여야를 가리지 않았다. “정성호(법무부 장관) 같은 인물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시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다” “우상호(정무수석) 하는 꼬라지를 보라고. 이런 애들이 민주당을 다 말아먹고 있거든” “자기 과시하는 정청래는 (당 대표가) 안 된다”는 식이다.

17536043909474.jpg

박경민 기자

그러자 친문계 핵심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재인이 모든 고통의 원천이란 발언은) 화가 많이 난다”며 “치욕스럽기까지 하다”고 날 선 반응을 보였다. 같은 당 박주민 의원이 지난 25일 라디오에서 “(최 처장에 대해) 매우 아쉽고 굉장히 답답한 부분이 있다”고 했고, 박지원 의원도 “검증이 잘못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논란이 이어지자 당내의 관심사도 최 처장이 어떻게 인사혁신처장에 발탁됐는지에 쏠렸다. 이 대통령과 가까운 복수 여권 관계자는 “최 처장은 2022년 대선 캠프 때나 이 대통령 경기지사 시절에도 특별한 교류가 있던 인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친명계 핵심 의원이 최 처장이 (인사·조직과 관련해) 인사이트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하는 걸 들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친명계 실세 중 누군가의 강한 추천이 있었을 거라는 얘기다.

실제로 한 친명계 인사는 “최 처장이 유튜브 등에서 문재인 정부를 퍼포먼스보다 이미지를 내세웠다며 ‘빵점’이라는 취지로 평가한 걸 보고 수긍한 사람이 꽤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기능성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이 본인의 조직 운영 철학과 맞닿는다고 본 면이 있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그는 “이 대통령도 유튜브를 통해 최 처장의 견해에 공감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최 처장의 거취를 둘러싼 공방이 계속되고 있지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26일 통화에서 “낙마 검토 사안이 아니다”라며 “당에서도 일이 더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논란이 더 커지기 전에 대통령실 정무라인에서 친문 의원들을 설득하는 움직임이 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5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