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턴 기간 줄여달라는 의대생…"피부과 등 인기과 노린 것"

본문

17536079102588.jpg

23일 오후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뉴스1

정부가 오는 2학기 복귀하는 의대 본과 3·4학년생을 위해 향후 2년간 의사 국가고시(국시)를 추가로 시행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인턴 수련기간 단축이나 졸업 전 인턴 시작 등 일부 의대생들이 요구하는 추가 특혜에 대해선 수용 불가 방침을 분명히 했다.

27일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보건복지부는 2026년 8월과 2027년 8월 졸업하는 본과 3·4학년을 대상으로 의사 국시를 추가 시행할 계획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5일 추가 국시 시행 방침이 담긴 의대생 복귀 방안을 발표하면서 "국시 문제는 복지부 소관으로, 단순히 졸업 시기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련 체계나 국가 의료인력 양성 체계와 관련한 사안"이라고 했다. 올해 신규 배출된 의사는 269명으로, 전년(3045명) 대비 8.8%에 불과하다. 이같은 의사 배출 공백을 고려한 조처라는 설명이다.

문제는 일부 의대생이 국시 추가 시행 외에도 인턴 수련기간 단축이나 졸업 전 인턴 수련 허용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사실상 기존에 복귀한 동기생들과 같은 시점에 레지던트 과정을 시작하게 해달라는 특혜성 요구"라는 지적이 나온다.

의사 국시는 통상 매년 9~11월 실기시험, 이듬해 1월 필기시험 순으로 치러진다. 1월 말 합격자 발표 후 2월 중 면허가 발급되고, 3월부터 인턴 수련을 시작하는 구조다. 이미 복귀한 본과 4학년(19학번)은 이 같은 일정에 따라 내년 3월 인턴을 시작하고 2027년 3월 레지던트 과정에 진입할 수 있다. 반면 이번 2학기에 복귀하는 본과 4학년은 내년 8월 졸업하고 9월 인턴을 시작해 기존 복귀자보다 늦은 시점(하반기)에 레지던트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 같은 상황 때문에 의대생이 모인 SNS 안팎에선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결정사항"이라며 "본4는 내년 8월 졸업하고 '6월 인턴'에 지원할 수 있도록 국시를 6월 이전에 시행한다"는 주장이 퍼지고 있다. 일부 지역의사회에도 "졸업 전 인턴 수련을 가능하게 해달라"는 의견이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의사 면허 없이 인턴 수련을 할 수 있게 허용해달라는 요구다.

복지부 "국시 외 추가 특혜 없다"

17536079104497.jpg

23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의예과 1학년 출석부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이에 대해 복지부는 "국시 추가 시행 외에 다른 특혜는 없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시를 추가로 시행하더라도 면허 발급은 8월 졸업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기복귀자와 미복귀자 간 수련 시작 시점은 6개월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수도권의 한 의대 교수는 "국시 추가 시행도 수십억 원의 세금이 투입되는 특혜"라며 "여기에 수련의 질을 훼손하는 다른 특혜 요구는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의료계 안팎에선 이 같은 요구 배경엔 피부과·안과 등 인기과 진입을 노린 전략적 계산이 깔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보통 레지던트 모집은 매년 상·하반기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하반기 모집은 상반기 결원이 있는 일부 과에서만 추가로 시행된다.

상반기에 먼저 졸업한 이들이 자리를 채우면, 하반기엔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로 대표되는 비인기·필수의료과 위주로 모집할 것이라 우려한다는 설명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대생 단체가 '같이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건 기존 복귀자들이 상반기 레지던트 모집 때 인기과를 차지하는 게 싫다는 집단 이기주의의 전형"이라고 주장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수련 시차가 6개월 발생하는 과정에서 전공과 정원 배분 문제 등은 향후 수련 현장의 의견을 듣고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