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강남 3구는 물려준다"… 상반기 증여 급증, 6·27 이후에도 이어져

본문

17536103113697.jpg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 아파트 모습. 뉴스1

올해 상반기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팔지 않고 물려주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잦은 부동산 정책 변화에 대한 불신과 '핵심지는 결국 오른다'는 학습효과가 배경으로 꼽힌다.

27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강남권(강남ㆍ송파ㆍ서초) 집합건물 증여 목적 소유권 이전 건수는 총 82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 증가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336건)ㆍ송파(253건)ㆍ서초(235건) 순으로 증여 건수가 가장 많았다.  최근 3년간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2023년 520건, 지난해 675건 등 강남권 아파트 증여 건수는 계속 늘고 있다.

이런 흐름은 가격 급등세가 꺾이기 시작한 지난 6ㆍ27 대출 규제 이후에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자산가치가 계속 상승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증여해 세부담을 줄이는 게 일반적인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올해 7월(25일 기준) 강남 3구 증여 건수를 모두 합치면 119건이다. 올해 상반기 동기(매월 1~25일) 평균(111.7건)보다 높고, 지난해 같은 기간(7월 1~25일)보다도 36.8% 급등했다.

강남권 자산가들이 매매 대신 보유·증여 전략을 취하는 배경으로는 불확실한 부동산 정책 기조가 첫손에 꼽힌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투기과열지구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같은 핀셋 규제와, 세제 정책의 잦은 변경이 시장에서는 장기적 정책 신뢰도를 낮추고 있다”며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면 자산가는 ‘안전자산 보유’로 대응하는데, 이것이 강남 3구 아파트 증여로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부활할 가능성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일시적으로 배제 조치했다. 올해 초 연장된 배제 기간은 내년 5월에 만료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상반기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며 "여기에 정권 교체가 유력해 절세를 위해 서둘러 증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이들 지역은 과거 고강도 규제에도 부동산 가격이 중장기적으로 상승했다는 학습효과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믿음이다. 우병탁 신한은행 프리미어패스파인더 부동산전문위원은 “대출 규제 이후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안정된다면, 이 역시 세금을 덜 수 있는 ‘증여 타이밍’으로 여겨진다”며 “이는 물론 단기적 안정기 이후에는 결국 상승할 거라는 생각에 기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5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