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육부 '의대생 특혜' 비판에..."아이들 상…
-
4회 연결
본문
교육부가 복귀 의대생을 두고 특혜라는 비판이 이는 데 대해 "특혜 얘기보다는 아이들(학생들) 상처를 보듬고 어떻게 교육을 잘할지에 대해서 결정해야 할 때"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모습. [뉴스1]
28일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지난 1년 반 동안 국민, 대학, 학생들이 어려운 시기를 겪었고 상처도 많이 받았다. 모두에게 잃어버린 시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교육부는 또 이미 복귀한 학생과 2학기에 학교로 돌아가는 의대생들 사이의 갈등을 비롯해 온라인 영상 강의 대체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 등 여러 우려에 대해 "학사 관련 내용은 담당 부서에서 해당 대학에 확인 중"이라며 "대학별로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 것 같고 교육부와 조만간 협의할 듯하다"고 답했다. 또 "학생 간 갈등 문제는 저희도 잘 생각하고 있고 학교에서도 이 부분을 신경 쓰고 있는 거로 안다. 학교와 함께 세밀하게 보듬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학교가 복귀 의대생을 대상으로 단축 수업을 하는지 점검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필요한 때엔 점검할 계획이지만 지금 당장 무엇을 어떻게 점검하겠다고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또 의대생 복귀 근거로 든 '의사 수 공백'에 구체적인 데이터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통상적으로 봤을 때 매년 3천명씩 의사가 배출돼야 했는데 한동안 배출이 안 되지 않았느냐"며 "이런 상황이 지속하면 결과적으로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수업을 거부한 의대생 8000명에 대해 2학기 복귀를 허용했다. 또 본과 3·4학년생이 의사 국가시험(국시)을 치를 수 있도록 추가로 시험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의대생 특혜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