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65세 이상 고령자 1000만명 돌파…총인구는 5181만명

본문

17537699711643.jpg

고령화가 가속화하며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고령화가 가속화되며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국인 인구는 4년 연속 감소해 외국인 증가로 총인구 감소를 가까스로 피한 상태다.

통계청은 29일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결과에서 이 같은 인구구조 변화를 공개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80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1000명(0.1%) 늘었다. 총인구는 2021년과 2022년 2년 연속 줄었다가 2023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증가 폭은 줄어 사실상 정체 상태다.

총인구 중 내국인은 4976만3000명(96.1%)으로 전년보다 7만7000명 줄었고, 외국인은 204만3000명(3.9%)으로 10만8000명 증가했다. 내국인 인구는 2021년 이후 4년 연속 감소 중이며, 외국인 수는 고용허가제 확대 및 유학생 유치 등으로 인해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었다.

외국인 국적은 한국계 중국인이 53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8만5000명), 중국 국적자(22만3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베트남 국적 외국인은 1년 새 3만8000명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총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년보다 51만3000명 늘어난 1012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의 19.5%로,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반면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26만3000명으로 28만3000명 줄었고, 유소년 인구(014세)도 542만1000명으로 19만9000명 감소했다.

고령화의 영향으로 중위연령은 46.2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으며, 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86.7명으로 급등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인 노년부양비도 27.9명으로 1.6명 증가했다.

수도권 인구는 2630만8000명으로 전체의 50.8%를 차지했다. 경기(1391만4000명), 서울(933만5000명), 인천(306만 명) 순으로 많았으며, 서울·부산·광주·대전·울산 등 특광역시는 인구 감소세를 보였다.

총가구 수는 2299만7000가구로 전년보다 26만9000가구(1.2%) 증가했다. 이 가운데 1인 가구는 804만5000가구로 전체의 36.1%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800만 가구를 넘어섰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