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대 사원보다 50대 간부가 더 많다...우울한 첫 세대 역전

본문

17543557122727.jpg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센터에 기업들의 채용공고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국내 기업에서 20대 직원보다 50대 이상 직원의 비중이 더 높아지는 ‘세대 역전’ 현상이 가시화됐다. 이는 신규 채용 축소와 퇴직 연령 상향에 따른 구조적 변화로 분석된다.

5일 기업분석기관 리더스인덱스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매출 기준 500대 기업 가운데 연령별 인력 구성이 비교 가능한 124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19.8%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2%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처음으로 20% 아래로 내려갔다.

반면 50세 이상 인력 비중은 같은 기간 0.6%포인트 상승한 20.1%를 기록했다. 이로써 두 연령대의 비중이 역전된 것은 2015년 해당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30세 미만 직원 수는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2년 23만5923명(21.9%)에서 2023년 23만888명(21.0%), 2024년에는 22만1369명(19.8%)으로 줄었다. 이에 반해 50세 이상 직원은 같은 기간 20만6040명(19.1%)에서 21만4098명(19.5%), 22만4438명(20.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 산업에서 세대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9.7%포인트(7789명) 감소한 반면, 50세 이상은 1.2%포인트(496명) 늘어 전체 격차가 10.9%포인트에 달했다. IT·전기전자 업종도 30세 미만 비중이 5.4%포인트(1만5300명) 줄고 50세 이상은 3.1%포인트(6933명) 늘어나 8.5%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둔화로 인해 이차전지, IT 등 주요 산업에서 신입 채용이 위축됐고, 고령 인력의 퇴직이 지연되면서 기업 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세대 간 비중이 바뀌는 전환점에 도달했다”고 진단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7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