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갤Z폴드' 날고 애플도 접으니... 삼성D &#038…

본문

삼성디스플레이가 흥행 돌풍 중인 폴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브랜드로 공식 출시했다.

고객사 삼성전자의 갤럭시 Z 폴드7이 시장에서 호평 받고 애플도 폴더블 폰 행렬에 합류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OLED 선두 지위를 굳히겠다는 거다.

17543675042364.jpg

삼성디스플레이가 출시한 폴더블 브랜드 '몽플렉스'. 브랜드명 아래의 상자는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 7 패널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7일부터 3일간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에서 신규 브랜드 ‘몽플렉스(MONT FLEX)'를 소개한다고 5일 밝혔다. 프랑스어 MONT(산)는 기술 최정상을 뜻하며, 각 철자는 각각 폴딩 내구성, 선명한 화면, 얇은 베젤, 가벼운 디자인 등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양산 7년째인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OLED는 지난달 출시한 삼성 갤럭시 Z 폴드7의 흥행으로 함께 주목받고 있다. Z 폴드7은 접을 때 두께가 8.9㎜로 전작(12.1㎜) 대비 26% 가량 얇아졌다. 또한 기존 테스트(20만회)의 2.5배인 50만 회 접고 펴는 테스트를 통과했는데, 이는 하루 200번 이상 접고 펴는 고사용자(헤비 유저)의 6년간 사용 분량이다.

17543675044636.jpg

삼성전자가 지난 9일 공개한 ‘갤럭시 Z 폴드 7’의 모습. 접은 두께 8.9㎜, 펼친 두께 4.2㎜의 초슬림 외관이 두드러진다. 이가람 기자

삼성디스플레이는 패널을 보호하는 강화유리(UTG)의 두께는 전작보다 50% 키워 내구성을 강화하면서도, 패널 플레이트는 티타늄을 적용해 전체 두께를 확 줄였다.

그간 ‘접는 폰’에 보수적이었던 애플도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아이폰 폴더블을 출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초기 공급을 독점할 전망으로, 내년 중반 애플용 제품 양산을 목표로 생산 설비를 늘리고 있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기세를 몰아 3단 폰을 낸다. 노태문 DX부문장 직무대행은 지난달 갤럭시 언팩 간담회에서 “트라이폴드 제품은 연말 출시 목표”라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22년 3단용 디스플레이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한편, 5일 삼성전자는 지난달 25일 출시한 갤럭시 Z 폴드7·플립7이 역대 최대 사전 판매 기록인 104만 대를 달성하고 이후 전작을 크게 웃도는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2월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의 국내 판매량은 지난 1일 300만 대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0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