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호텔서 절대 만지지 마세요"…세균 바글바글한 '뜻밖의…

본문

17543999778898.jpg

여름휴가 성수기인 3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이 해외로 출국하는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호텔 전문가가 호텔 방에서 가장 세균이 많고 더러운 물건들을 소개했다.

5일 미국 뉴욕포스트는 휴스턴대학교의 연구를 인용해 “일부 호텔 객실에서는 세균 수치가 병원 기준보다 최대 10배 이상 높게 측정된 사례가 있었다”며 “겉보기에 깨끗해 보일 수 있지만 놀라울 정도로 많은 양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숨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호텔 청소 시간은 객실당 평균 30분으로, 위생 사각지대가 생기기 쉽다. 이탈리아의 한 호텔 하우스키핑 책임자는 “객실 내 장식용품은 손도 안 대는 경우가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위생적인 호텔 사용을 위해 객실 내에서 접촉을 피하면 좋은 물건과 객실에 들어서자마자 해야 할 일들을 소개하기도 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장식용 침구류’ 치우기다. 침대에 놓인 쿠션이나 침대 발치에 놓인 덮개가 대표적이다. 보기엔 깔끔하지만, 실제로는 세균의 온상일 수 있다는 게 이유다. 전직 호텔 직원은 자신의 레딧에 “대부분의 호텔은 이런 침구류를 세탁하지 않는다. 침대 시트만 세탁하는 경우가 많다”고 글을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주의해야 할 객실 내 물건은 TV 리모컨과 전화기, 스위치 등이다. 여러 사람의 손길이 닿지만, 별도의 소독이나 세척이 되지 않는 대표적인 객실 비품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한 전문가는 “TV 리모컨이 호텔 객실에서 가장 세균이 많은 물건”이라며 “많은 투숙객이 자주 만지는 데다 울퉁불퉁한 디자인 때문에 잘 닦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TV 리모컨에는 1제곱인치당 수백 마리의 미생물이 있다”라고도 했다.

음식물이 닿는 얼음통과 컵 역시 심각한 위생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대학의 역학 조교수인 브라이언 라부스는 작년 한 호텔에서 노로바이러스 집단 감염이 발생했는데, 당시 한 투숙객이 얼음통에 토하면서 바이러스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여행사를 운영하는 라델 카터는 “여행을 가면 전기 포트에 물을 끓인 뒤 사용할 물건들을 깨끗이 헹군다”며 “개인 여행용품을 챙겨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호텔 욕실도 안심할 수 없다. 2023년 한 조사에 따르면 욕조에는 세균이 많이 있으며, 변기 시트보다 최대 40배 더 많은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있다. 매체는 “호텔 욕실은 비행기보다 더 더럽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전했다. 한 여행 전문가는 “5성급 최고급 호텔이 아닌 이상 욕조 사용은 자제하는 게 좋다. 특히 제트 기능이 있는 자쿠지 욕조는 내부 소독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는 게 좋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8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