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울란바토르 대화, 한반도 안보 돌파구로 쓰길”
-
2회 연결
본문

‘한반도-북방 문화전략포럼’에서 발표하는 남스라이 전 몽골대사. [사진 HK+국가전략사업단]
“2007년과 2012년 북한과 일본의 접촉을 성사시켰던 경험을 되살려, 한국 새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을 돕겠다.”
남스라이 에르덴토야 전 주한 몽골대사는 5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제5회 한반도-북방 문화전략포럼’에서 이렇게 말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국가전략사업단과 몽골국립대학교, 몽골과학원이 공동 주최한 행사다.
남스라이 전 대사는 이날 ‘수교 35주년 한·몽 관계’ 세션 발표자로 나서 “(과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다음으로 몽골 울란바토르를 북·미 대화 장소로 꼽았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의 회고록을 언급했다.
문 전 대통령의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는 1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북한이 가장 선호하는 곳은 판문점, 다음이 몽골 울란바토르였다”는 내용이 있다. 다만 몽골 울란바토르의 경우 미국이 경호 기준에 맞는 호텔이 하나밖에 없다고 난색을 표해 제외됐다고 한다.
남스라이 전 대사는 “유엔 정무평화구축국이 지원하는 ‘울란바토르 동북아 안보 대화(UBD)’를 한반도 안보의 돌파구로 활용하라”는 제안도 했다. UBD는 지난 2013년 창설돼 올해 10회째를 맞았다. 지난 6월 행사에는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230여 명이 참석했다.
최진원 주몽골 대사는 4일 포럼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새 정부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 몽골을 포함한 지역 전체의 공동 번영을 외교정책의 중심 기둥으로 삼았다”며 “한·몽 양국은 인프라 개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 등 혁신적인 협력 모델을 수립해 견고한 연대를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