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월 경상수지 142.7억 달러 흑자…반도체 등 수출 호조에 역대 최대
-
3회 연결
본문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뉴스1
지난 6월 경상수지가 역대 최대 폭의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경상수지는 142억7000만달러(약 19조77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월(101억4000만달러) 및 지난해 같은 달(131억달러)보다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로, 2000년대 이후 세 번째로 긴 26개월 연속 흑자 행진도 이어갔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493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401억6000만달러) 대비 약 92억달러 증가했다.
반도체·의약품 수출 증가…상품수지 흑자 확대
6월 상품수지는 131억6000만달러 흑자로, 전월(106억6000만달러)보다 25억달러 확대됐다. 이는 2017년 9월(145억2000만달러), 2016년 3월(133억2000만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수출은 총 603억7000만달러로,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품목과 의약품 등 비(非) IT 품목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3% 늘었다. 항목별로는 컴퓨터 주변기기(13.6%), 반도체(11.3%), 의약품(51.8%)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승용차(-0.3%), 석유제품(-0.9%), 철강제품(-2.8%) 수출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EU, 14.7%)과 동남아시아(6.0%) 수출이 증가한 반면, 미국(-0.5%)과 중국(-2.7%) 수출은 부진했다.
6월 수입은 472억1000만달러로,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증가율은 0.7%에 그쳤다. 자본재는 반도체 제조장비(38.8%)와 반도체(22.7%)를 중심으로 14.8% 증가했고, 소비재는 직접소비재(10.9%)와 승용차(7.3%)가 주도하며 7.6% 늘었다. 반면 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으로 석유제품(-33.1%), 석탄(-25.9%), 원유(-15.2%) 등 원자재 수입은 6.4% 감소했다.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여행수지 악화
서비스수지는 25억3000만달러 적자로, 전월(-22억8000만달러)과 지난해 같은 달(-16억4000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이 가운데 여행수지는 10억1000만달러 적자로, 입국자 수 감소 영향으로 전월(-9억5000만달러) 대비 적자가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41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월(21억5000만달러)보다 약 2배 증가했다. 배당소득수지가 15억9000만달러에서 34억4000만달러로 급증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내국인의 해외 직접투자는 39억2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는 7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주식 투자가 중심이 되어 98억4000만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 위주로 54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