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은경 “의료 갈등 장기화,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신뢰 회복이 최우선”
-
4회 연결
본문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상성생명 일원동 빌딩에서 열린 ‘환자·소비자단체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7일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1년 반 동안이나 지속되면서 많은 불안과 불편을 겪으신 국민과 환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생명 일원역 빌딩에서 열린 환자·소비자단체 간담회에서 “특히 의료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으신 환자와 가족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정부는 그간의 갈등이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 국민, 의료계와 신뢰를 회복하는 게 가장 최우선의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국민 중심의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필수·공공 의료를 확실하게 강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또 “환자가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으로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현재 발의된 환자기본법 등 환자 안전과 권익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과 더불어 환자의 알 권리, 안전하게 진료받을 권리가 실제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의료 개혁 방향에 대해서는 “국민 중심의 의료개혁 방안을 만드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정부의 의료 정책이 굉장히 많이 누적돼 있고 복합적이어서 쉽게 풀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며 “초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급증 문제, 비급여나 실손보험 같은 불합리한 제도도 있어서 이런 부분을 종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의료개혁추진위원회, 혁신위원회를 만들어 국민, 의료인,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의료 개혁 방안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말씀을 주시면 이를 담아 실천 방안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정 장관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정부가 사직한 전공의들이 기존 병원에 복귀할 경우 초과 정원을 인정해주는 방안이 특혜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정 장관은 “오늘은 환자 간담회가 먼저”라며 즉답을 피했다.
복지부는 이날 오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등과의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사직 전공의들이 같은 과목과 연차로 복귀할 경우, 병원 자율로 정원을 결정하고 초과 정원도 인정해주는 방침을 밝혔다. 또한 복귀 후 군 입대를 희망하는 경우 수련을 마친 뒤 입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고, 수련 중 입대한 경우에는 제대 후 복귀가 가능하도록 사후 정원 인정도 허용하기로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