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삼성은 ‘XR 올레도스’ LG는 ‘카멜레온 OLED’

본문

17545834978506.jpg

7일 코엑스에서 열린 ‘K-Display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에 삼성디스플레이의 올레도스 제품을 살펴보는 관람객들. 이가람 기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주축으로 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을 내세웠다.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K-Display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가 사흘간 일정으로 막을 올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전시회는 국내·외 143개의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및 소재·부품·장비사가 참여해 582개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혼합현실(XR) 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OLEDoS) 등 차세대 디바이스에 적용될 혁신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다. 기존 제품 대비 50% 밝아진 6000니트(1니트는 촛불 한 개 밝기) 밝기의 마이크로 LED 스마트워치용 디스플레이도 최초로 선보였다.

특히 무편광판 OLED 기술 ‘LEAD™’와 폴더블 OLED 브랜드 ‘MONTFLEX’를 앞세운 스마트폰, 모니터, 태블릿 제품을 통해 중·소형 OLED 시장에서의 우위를 강조했다. 이날 부스에선 영하 20도 냉동고 속에서 폴더블폰을 반복해서 접고 펴는 테스트를 진행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17545834980475.jpg

7일 코엑스에서 열린 ‘K-Display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에 LG디스플레이의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살펴보는 관람객들. [뉴스1]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대형 OLED를 전면에 내세웠다. 현존 최대 크기인 57인치 차랑용 곡면 디스플레이와 천장에서 화면이 내려오는 32.6인치 슬라이더블 OLED 기술을 선보였다. 차량 내부 나무 원목처럼 보이는 내장재에서 각종 정보가 나타나자 관람객들이 놀라기도 했다.

최대 720Hz(HD)의 초고주사율을 구현한 세계에서 가장 빠른 OLED 모니터 패널도 최초 공개했다.

17545834982392.jpg

나무 무늬 화면을 띄워 내장재처럼 보이게 한 LG디스플레이의 POLED. 이가람 기자

중국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는 것과 관련, 국내 기업 간 협력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LG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에 LCD 관련 특허 수십 건을 양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대형 LCD는 이미 양사가 사업을 접은 분야이기에 경쟁 구도에서 벗어나 ‘코리아 원팀’처럼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대규 순천향대 디스플레이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중국 BOE 등은 LG가 원천 기술을 갖고 있는 IPS 기반 TV용 LCD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며 “삼성디스플레이가 현재 BOE와 벌이고 있는 OLED 특허 분쟁에서 LCD 관련 특허가 향후 협상 등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61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