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 '비핵화 거부' 김여정 담화 언급하며 "…
-
4회 연결
본문
미국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문제를 제외한 다른 주제에 대한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최근 담화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미 국무부 당국자가 밝혔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최근 담화에서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선을 그으면서도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개인적 친분을 언급하며 다른 주제에 대한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뉴스1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를 겸직하고 있는 세스 베일리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연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김여정의 최근 담화를 포함해 북한 지도부에서 나온 고위급 성명들을 봤다”며 “김여정의 담화를 관심 갖고 주목하고 있다(note with interest)”고 말했다.
앞서 김여정은 지난달 29일 담화에서 “(북한의)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며 비핵화 논의 가능성에 선을 그으면서도 미국에 “그러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여정은 특히 “우리 국가수반(김정은)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며 과거 3차례 정상회담을 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도 언급했다.
김여정의 발언은 과거와 같은 방식의 비핵화 협상을 거부하면서도 미국이 북한을 사실상의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해 줄 경우 핵군축 협의 등에는 응할 가능성을 시사한 말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베일리 대행은 “새로운 한국 정부는 한반도 전역에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의미 있는 조치를 하고 북한에 관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한국 대통령 모두 북한과의 외교와 관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브리핑 주제인 한국전쟁 참전용사 유해 송환 상황을 설명하면서도 “미국은 미군 장병 유해 송환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이자 양자 목표 중 하나로 생각한다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밝혀왔다”며 “유해 송환 문제가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 중요한 항목으로 포함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공동성명에 서술된 원칙들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래 이런 정책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협상에 관여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말했다.

세스 베일리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 지난해 8월 외교부와 미 국무부 공공 주최로 미국 뉴욕 힐튼미드타운 호텔에서 열린 '북한 가상자산 세탁 차단 한미 공동 민관 심포지엄'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시 북한과 미국은 싱가포르 회담에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 전쟁포로와 실종자 유해 수습 등 4개 항목을 골자로 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한편 베일리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30일에 발표한 한·미 무역 합의는 양국이 한·미동맹의 현대화와 강화에 대한 헌신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인도태평양 국가로서 이 지역의 경제 및 안보 도전을 해결하는데 항구적인 관심이 있다”며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을 포함한 공격 행위를 억제하고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권력 도구를 이용해 동북아시아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