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대량실업 우려"…전 세계 60여개국, 트럼프 관세에 비상 대응

본문

17546304572582.jpg

지난 1일 브라질 상파울루 주재 미국 총영사관 앞에서 브라질산 수출품에 대해미국의 50% 관세 부과에 항의하는 사람들이 성조기를 불태우며 시위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단행한 대규모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세계 60여 개국이 비상 대응에 나섰다. 각국 정부는 자국 산업 보호와 대량 실업 사태를 막기 위한 긴급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은 미국의 50% 관세 부과에 대응해 자국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을 준비 중이다. 브라질 정부는 국영 개발은행이 운용하는 55억 달러(약 7조6000억 원) 규모의 수출보증기금을 활용해, 고용 유지를 조건으로 저금리 신용대출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미국의 조치를 “용납할 수 없는 협박”이라며 강하게 비난했고, 중국·인도 등 브릭스(BRICS) 국가들과 공동 대응도 추진 중이다.

39%의 고율 관세가 부과된 스위스는 경기침체 우려 속에 협상팀을 미국에 파견해 관세 완화를 위한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 스위스 정부는 경기 대응 차원에서 ‘단축근로보상 제도’의 적용 기간을 기존 최장 18개월에서 24개월로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라오스는 40% 관세 부과로 수출 산업 전반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의류 제조업체 디엡부의 요하네스 소머스 회장은 “40%의 관세는 사실상 사형선고”라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현지에선 약 2만 명의 노동자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영국, 유럽연합(EU), 한국, 일본 등 일부 국가는 협상을 통해 15% 수준의 관세 인하에 합의했지만, EU 내부에서도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 품목에는 27.5%에 달하는 개별 관세율이 적용돼 업계 반발이 거세다. 독일자동차산업연맹 힐데가르트 뮐러 회장은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는 독일 제조업체에 큰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EU 내부에서는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자구책 마련 움직임도 감지된다. 아일랜드는 대미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효 직전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자정이 됐다. 수십억 달러가 미국에 유입되고 있다”며 관세 조치의 성과를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위대함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실패를 원하는 급진 좌파 법원뿐”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7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