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멸종위기' 붉은여우가 돌아왔다…복원 13년, 전국 154마리 …

본문

17547742479347.jpg

야생으로 방사한 붉은여우가 방사 전 자연적응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지난 4월 붉은여우를 복원 중인 국립공원공단 직원들이 전남 해남군 어불도를 찾았다. 지난해 소백산에서 GPS 발신기를 부착해 방사한 여우 한 마리가 바다를 건너 섬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김낙원 국립공원공단 계장은 “육지에서 500m 떨어진 섬까지 헤엄쳐서 간 것으로 보인다”며 “5일 정도 섬 야산에서 머물다가 다시 육지로 나왔다”고 말했다.

한때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던 여우가 다시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토종여우 복원 사업을 시작한 이래 야생으로 돌려보낸 개체들이 점차 활동 반경을 넓힌 결과다.

국립공원공단이 여우에 부착된 GPS 발신기의 좌표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5개 도(경기·강원·충청·전라·경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7547742481401.jpg

국립공원공단이 방사한 붉은여우의 활동 좌표(점)와 지역별 활동 비율. 국립공원공단 제공

지역별 활동 비율은 방사 지역인 소백산 권역이 55%로 가장 컸고, 경북(34%)·강원(14%)·충북(9%)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인 경기와 소백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전남에서도 비율은 1% 정도로 작지만 여우가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쥐잡기 운동에 멸종위기…2012년부터 복원

멸종위기 야생생물 Ι 급인 붉은여우는 과거 한반도 전역에 분포했으나 60년대 쥐잡기 운동과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80년대 이후 멸종한 것으로 간주됐으나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되면서 2012년부터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

1754774248368.jpg

6일 붉은여우가 복원시절을 빠져나가 야생으로 향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복원시설 출입문을 개방해 여우가 자연스럽게 시설 밖으로 나가는 형태로 방사를 진행했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공단은 붉은여우를 인공 증식해 해마다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있다. 지난 6일에도 여우 30마리를 방사했는데, 90%가 지난해 태어난 1년생 새끼들이다. 방사는 여우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야생에 천천히 적응할 수 있도록 복원시설 출입문을 개방해 자연스럽게 시설 밖으로 나가는 형태로 진행됐다.

배성근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중부보전센터장은 “방사된 여우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만 1년 된 개체가 가장 생존율이 높아서 그 시기에 맞춰서 방사했다”며 “올해까지 총 259마리를 방사했는데 야생에서 태어난 13마리를 포함해 154마리가 생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17547742485935.jpg

방사한 붉은여우 개체들이 갓 태어났을 당시의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여우는 야생에서 장거리를 이동하고 저지대 산지 주변에 서식한다. 생태적으로 중간 포식자로서 설치류나 조류, 개구리, 뱀 등 소형 동물을 먹이로 삼아 개체 수를 조절해 생태계 균형에 기여한다. 도심에서도 가끔 발견되지만, 사람을 무서워하고 거리를 두기 때문에 충돌할 가능성은 매우 작다.

로드킬·밀렵 위협에 생존율 낮아

17547742488111.jpg

토종 여우가 도로에서 로드킬을 당해 폐사했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복원의 가장 큰 난관은 여우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다. 야생에서 최대 수명은 9년으로 알려졌지만, 로드킬이나 불법 엽구, 농약 등의 위협으로 6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한다. 실제로 복원 사업 과정에서 방사한 여우의 약 28%가 이런 위협 요인 때문에 폐사했다.

김 계장은 “겨울철 교미 시기가 되면 여우의 활동량이 많아진다”며 “멀리 갔다가 방사 지역인 소백산으로 돌아오기도 하는데 오는 길에 로드킬을 당해 폐사한 개체도 있다”고 말했다.

17547742490118.jpg

국립공원공단이 붉은여우를 위협하는 불법 엽구들을 수거했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공단은 2027년까지 소백산 권역에 활동하는 여우 개체 수를 100마리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여우가 다시 자연에 잘 정착하기 위해서 로드킬‧불법 엽구‧농약 등 위협요인에 대한 서식환경 개선에 더 노력하겠다”며 “국민들께서도 야생동물과의 공존을 위해 협조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14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