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계대출 잡기 힘드네…주담대 증가세 꺾이자 이번엔 신용대출 ‘쑥’

본문

17548390403855.jpg

6·27 대출 규제 이후 느려졌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이달 들어 다시 빨라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주식 ‘빚투(대출을 받아 투자)’로 인한 일시적 증가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추가 규제를 검토 중이다.

10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지난달 말과 비교해 1조9111억원이 늘었다. 하루 평균 약 2730억원 불어났는데, 이는 지난달 일평균 증가 폭(약 1335억원)의 2배가 넘는다. 6·27 대출 규제 이전인 6월 증가 폭(약 2251억원)보다 큰 액수다. 현 추세가 이어진다면 이달 5대 은행의 월간 가계대출 증가 폭은 역대 최대인 지난해 8월 기록(9조6259억원)도 뛰어넘을 수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대출 수요가 늘면서 가계대출이 증가했다는 입장이다. 이달 1~7일 신용대출 잔액은 1조693억원이 불어났다. 최근 지투지바이오·삼양컴텍 등 공모주 청약에 각각 3조~13조원의 증거금이 몰린 영향이다. 공모주 용도의 신용대출은 통상 청약이 끝나면 대부분 상환된다.

신용대출과 달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는 대출 규제로 인해 주춤했다. 이달 1일부터 7일까지 주담대는 5796억원 늘면서 하루 평균 약 828억원씩 증가했다. 지난달 일평균 주담대 증가액(1466억원)을 한참 밑돈다.

하지만 안심하기엔 이르다.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어서다. 지난 7일 한국부동산원은 이달 첫째 주(4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전주 대비 0.14% 올랐다고 발표했다. 직전 주(0.12%)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담보인정비율(LTV) 축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범위 확대는 항상 준비해 두고 필요하면 시행할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6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