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딸이 좀비라도, 아빠는 아빠
-
5회 연결
본문

정환(조정석)은 엄마 밤순(이정은)과 함께 좀비 딸 수아(최유리)를 먹이고, 씻기고, 훈련시킨다. [사진 NEW]
영화 ‘좀비딸’(필감성 감독)이 개봉 11일 만에 3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좀비딸’은 이 세상 마지막 남은 좀비가 된 딸 수아(최유리)를 지키기 위해 극비 훈련에 돌입한 딸바보 아빠 정환(조정석)의 고군분투를 그린 코믹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개봉 이후 줄곧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켜온 영화는 9일 오후 8시 관객 수 300만을 넘어섰다.
올해 300만 이상의 관객을 모은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23일), ‘야당’(27일), ‘F1 더 무비’(40일), ‘미키17’(39일)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흥행세다. ‘야당’(337만 관객)을 제치고 올해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이 되는 건 시간 문제다. 500만 관객 동원도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환(조정석)은 엄마 밤순(이정은)과 함께 좀비 딸 수아(최유리)를 먹이고, 씻기고, 훈련시킨다. [사진 NEW]
코믹한 설정에 따뜻한 가족애를 절묘하게 버무려 세대 별로 고른 호응을 이끌어낸 게 흥행의 원동력이란 분석이다. CGV 예매 관객 분석에 따르면, ‘좀비딸’의 연령대 별 관람객은 20대 23%, 30대 23%, 40대 33% 등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은 “40대 관객 비율이 가장 높다는 건, 가족 관객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동명 원작 웹툰의 비극적 엔딩을 희망적 여운의 열린 결말로 바꾼 것이 흥행의 ‘신의 한 수’로 꼽힌다. 제작사인 스튜디오N의 권미경 대표는 “원작자인 이윤창 작가를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엔딩을 바꿔도 될까요’라고 물었는데 이 작가가 흔쾌히 동의해줬다”면서 “원작자, 제작자, 감독 모두 희망적 여운의 엔딩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원작과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각색도 흥행 요인으로 꼽힌다. 일부 설정과 등장 인물이 바뀌었지만, 가족애라는 핵심 주제는 고스란히 가져왔다. 원작의 핵심 세계관과 주제 의식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해 원작 팬들의 비난 속에 흥행에 실패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원작에 대한 존중이란 면에서 ‘좀비딸’은 웹툰 영화화의 모범 사례로 남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정석의 열연 또한 흥행의 일등 공신으로 꼽힌다. 필 감독은 조정석을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썼고, 아빠가 된 조정석 또한 부성애가 부각되는 이 작품을 운명처럼 받아들였다. 그리고 다정한 딸 바보 아빠의 면모는 물론, 노모·친구와 티격태격하는 모습 등 위트와 페이소스를 넘나드는 연기로 ‘엑시트’(2019, 942만명), ‘파일럿’(2024, 471만명)에 이어 여름 흥행 최강자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정환(조정석)은 엄마 밤순(이정은)과 함께 좀비 딸 수아(최유리)를 먹이고, 씻기고, 훈련시킨다. [사진 NEW]
원작에 없는 보아의 히트곡 ‘넘버 원’을 삽입한 것도 가족애 코드를 강화하는 ‘킥’으로 작용했다. 보아의 팬으로서 이 노래를 선택한 필 감독은 “‘너는 아직도 내게 가장 소중한 존재야’라는 가사가 영화의 메시지와 일맥상통한다”고 설명했다.
괴물로 치부돼 온 좀비를 공존해야 할 존재로 보는 시선 또한 극단적 분열과 대립의 시대에 울림을 준다는 분석도 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좀비가 된 수아는 말썽 부리는 자식, 반려 동물, 사회적 타자 등으로 바꿔 해석할 수 있다”면서 “그런 존재를 인내심을 갖고 훈련시키고, 포용하는 모습에 다들 공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 '좀비딸'의 신스틸러 애용이. [사진 NEW]
신스틸러로 활약한 애용이(실제 이름 ‘금동이’)는 오디션을 통해 캐스팅했는데, 연기를 워낙 잘해 일부 표정 변화를 제외하곤 CG(컴퓨터그래픽)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 애묘인인 필 감독은 “(오디션 때) 낯선 장소에서 당당하게 배를 까고 누워버리는 모습에서 ‘이 녀석이구나’ 직감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