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정농단 연루' 최지성·장충기 복권…"삼성,…

본문

17549039097424.jpg

장충기 전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왼쪽)과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 실장. 연합뉴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됐던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등 전직 삼성 임원들이 이재명 정부 첫 특별사면 대상에 올랐다. 재계에선 삼성이 사법 족쇄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법무부에 따르면 ‘제80주년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경제인 16명이 포함됐다. 여기엔 최 전 실장(부회장)을 비롯해 장충기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상진 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 황성수 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전무 등 삼성 전직 임원 4명도 들어갔다. 법무부는 “경제발전 공로가 있는 경제인과 중소기업인, 영세 상공인 등에게 경제 살리기에 동참할 기회를 부여하고, 민생경제 저변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사면했다”고 설명했다.

최 전 실장과 장 전 차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및 최순실(개명 후 최서원)씨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2021년 뇌물 공여 혐의로 각각 2년 6개월의 실형을 확정받았다. 2022년 가석방됐지만, 그동안 복권 대상엔 오르지 못했다. 최순실·정유라씨의 승마 지원 담당으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던 박 전 사장과 황 전 전무도 함께 이날 복권됐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국정농단 사건으로 2년 6개월의 실형을 확정받고 복역했지만, 이후 2021년 문재인 정부에서 가석방됐다가 이듬해 윤석열 정부 첫해 8월 복권됐다. 당시 업무상 배임 혐의로 집행유예를 받았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특별사면·복권됐다. 국정농단 사건과 별도로 진행된 이 회장의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 회계 의혹’ 재판은 지난달 17일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선고됐다.

재계 관계자는 “이재용 회장과 함께 기소돼 처벌을 받았던 삼성 임원들이 이번에 모두 복권됨으로써 그동안 ‘정경유착’ 프레임에 갇혀 있던 삼성그룹 전체가 사면·복권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 회장뿐만 아니라 회사가 일체가 되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라는 메시지로 읽힌다”고 밝혔다.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도 이날 잔형집행면제 및 복권 됐다. 최 전 회장은 SK네트웍스 등 SK그룹 계열사 6곳에서 2235억원 상당을 횡령·배임한 혐의로 기소돼 지난 5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 6개월을 확정받았다. 최 전 회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사촌형이자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의 친형이다. 이외에 2013년 동양그룹 부도 위기를 숨긴 채 기업어음과 회사채를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힌 혐의로 징역 7년을 선고받은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과 채용비리 및 비자금 조성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확정받은 박인규 전 대구은행장도 이날 복권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5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