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중수출 허가 대가…엔비디아 수익 15%, 트럼프 정부에 낸다

본문

전 세계 반도체 기업들이 만칩트통(萬칩트通), ‘모든 반도체는 트럼프를 통해야 하는’ 시대를 맞이했다. 백악관 허가를 받고 글로벌 전략을 짜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주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반도체에 관세 100%’를 선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기업들로부터 미국 내 투자, 판매 수수료 등 각종 대가를 받는 조건으로 ‘관세 예외’를 인정해주는 협상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엔비디아와 AMD가 반도체 대중(對中)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 중국 내 칩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내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칩은 엔비디아·AMD의 중국 전용 인공지능(AI) 가속기 H20과 MI308을 가리킨다.

엔비디아와 AMD는 전임 바이든 정부의 대중 수출 제재를 피해 성능을 떨어뜨린 이 칩들을 중국에 팔아왔는데, 지난 4월 트럼프 정부는 이것도 막았다. 그러다 엔비디아의 적극적 로비로 미국은 H20의 중국 수출을 다시 허용하기로 했는데, 지난 6일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뒤 실제 수출 허가가 발급됐다고 한다. 여기에 ‘15% 수수료 납부’ 조건이 붙었고, AMD에도 적용된다는 거다.

FT는 미국 내에서 “전례 없는 일”, “록히드마틴이 15% 수수료를 내면 중국에 F35 전투기를 팔아도 되냐”는 비판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인텔 CEO의 운명도 ‘트럼프 알현’에 달렸다. 1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립부탄 인텔 CEO가 11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방문할 계획이며, 이 자리에서 ‘친중(親中)’ 오해를 풀고 정부와 협력을 논의하려 한다고 보도했다. 탄 CEO는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즉시 사임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중국과 밀착했다는 이유다. 탄 CEO가 회장으로 있는 투자사 월든은 글로벌 3위인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 SMIC에 2001년부터 투자해왔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트럼프 정부가 인텔 파운드리를 살려 미국 내 투자 유치에 활용하기 위해 경영에 간섭하려 한다고 본다. 트럼프 정부가 테슬라, TSMC, 엔비디아 등에 인텔 지분 인수를 제안했다는 설은 계속 흘러나왔다. 11일 대만경제일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TSMC에 인텔 지분 인수를 요구할 거라는 우려가 다시 나온다며, 12일 열릴 TSMC 이사회에서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보도했다. 대만 파운드리 업체 UMC도 인텔과 협력해 미국에서 12나노 공정 칩을 2027년부터 생산할 예정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4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