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비·수출 늘어도 건설업이 문제…KDI, 올해 한국 성장률 0.8% 전망

본문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0%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을 유지했다.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 등 영향으로 소비 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수출도 예상보다 견조하지만, 건설업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

KDI는 12일 내놓은 ‘경제전망 수정’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8%로 제시했다. 지난 5월 1.6%에서 0.8%로 낮춘 뒤 전망치를 그대로 뒀다.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아시아개발은행(ADB)과 눈높이가 같다.

최근 국내·외 금융사에서 1%대로 성장률을 높여 잡는 분위기에서 KDI는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 투자은행(IB) 8곳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1.0%로 한 달 새 0.2%포인트 높아졌다. 국내 주요 증권사 7곳도 올 2분기 GDP 성장률(전기비 0.6%)이 발표된 이후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1.1~1.3%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KDI가 빠른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본 배경에는 건설투자 침체가 있다. KDI는 올해 건설투자 증가율을 -8.1%로 예상했다. 기존 전망보다 3.9%포인트나 낮췄다. 올 상반기 건설투자가 기존에 전망했던 것보다 부진했던 데다, 부동산 시장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도 지연되고 있어서다. 대출 규제 강화와 건설 현장 안전사고 여파로 공사가 중단되는 일이 잦아지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

대신 민간 소비 회복이 건설 경기의 부진을 일부 상쇄했다. KDI는 금리 하락세와 여러 소비 부양책 등을 반영해 올해 민간 소비 증가율 예상치를 1.3%로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으로) 집행된 금액 일부가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며 “2차 추경의 성장률 상향 효과는 0.1%포인트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올해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6.8%)보다 크게 둔화한 2.1%로 예상했다. KDI는 미국과 주요국 간 통상 갈등이 격화하면 전 세계 경기 둔화로 이어져 성장세가 더욱 부진할 수 있다고 봤다. 특히 미국이 예고한 반도체 품목 관세를 수출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지난 5월 9만 명으로 전망했던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15만 명으로 대폭 높여 잡았다. 정부 일자리 사업 확대와 민간 소비 개선 등을 반영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2.0%로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상반기 전망보다 0.3%포인트 높지만, 지난해(2.3%)보다는 낮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7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