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배터리 화재' 말썽에…日 “제조사 회수, 리사이클 의무화”
-
2회 연결
본문
일본 정부가 ‘배터리 화재’ 단속을 위해 제조사에 회수와 리사이클을 의무화 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3일 보도했다. 회수가 의무화되는 품목은 보조 배터리와 스마트폰, 가열식 담배 기기 등 3개 제품이다. 보조 배터리 등으로 인한 화재 사고가 빈발하자 아예 제도 정비에 나선 것이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유회진학술정보관 실습실을 방문해 배터리 화재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연합뉴스
경제산업성은 ‘지정 재자원화 제품’에 보조 배터리와 스마트폰 등 3개 제품을 추가해 이르면 내년 4월 시행에 나설 전망이다. 보조 배터리나 스마트폰 제조사가 회수와 재활용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권고나 명령은 물론 벌금 부과도 가능해진다. 제조사들에 의무를 부과해 화재 발생을 줄이고 자원 재활용을 높인다는 취지로, 일본 정부는 소형 선풍기와 같은 제품을 추가로 지정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무선 청소기, 전동 면도기의 경우엔 아예 제조사에 배터리를 탈·부착하기 쉽게 설계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제조사에 책임 부과에 나선 배경엔 쉽게 배터리가 버려진다는 데에 있다. 일본 정부는 기존에도 개인용 컴퓨터(PC)와 리튬이온 전지 등을 별도 수거하도록 하고 있다. 제조사 등이 택배나 회수 박스를 설치해 회수하도록 했지만,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이나 보조 배터리는 회수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버려진 배터리가 화재의 원인이 돼 왔기 때문이다. 아사히는 지난 5월 하네다 공항에서 약 1㎞ 떨어진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한 화재 원인이 배터리였다고 지적했다. 플라스틱 폐기물에 섞여 들어간 리튬이온 배터리 3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설비에 불이 붙었고, 공항 활주로 4개 중 1개 사용이 제한되면서 일부 항공편이 지연됐다.
환경성에 따르면 2023년 쓰레기 처리시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로 인해 발생한 화재는 8543건으로 전년 대비 2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발화와 발연까지 포함하면 2만1751건으로 하루 약 60건에 달하는 배터리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배터리 화재는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다. 한국에서도 최근 배터리가 원인인 화재가 빈발하고 있다. 지난 12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충전 중인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