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출 문턱 높아지자 예금 통장 꺼냈다…열흘새 예담대 900억 급증

본문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6·27 대출 규제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효과로 풀이된다. ‘풍선효과’로 예금담보대출이 크게 늘었다.

13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2조2000억원 증가했다. 상승폭으로 따지면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전달인 6월 증가액(6조5000억원)과 견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7월(5조2000억원)과 비교해도 상승세가 잦아들었다.

금융당국은 규제 영향이 바로 나타나는 신용대출 등이 줄며 전체 대출액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1일부터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된 것도 영향을 줬다. 실제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6월엔 전월 대비 3000억원 증가했지만, 지난달엔 1조9000억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늘었다. 6월(6조1000억원)보단 상승폭이 줄었지만, 올해 1월 이후 계속 증가세다. 올해 상반기 부동산 시장이 과열돼 거래가 늘었는데, 보통 두어 달 간격을 두고 잔금을 치르기 때문에 4~6월 주택 거래가 7월까지 영향을 미쳤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규제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생활자금용 주담대 한도 축소, 분양 관련 중도금 납부 수요 감소 등으로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된 것”이라면서도 “서울 주요 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은 여전히 높다. 당분간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 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기존 예금을 담보로 받는 대출(예담대)이 크게 늘었다. 다른 대출 받기가 어려워지자 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신규 예담대에 수요가 몰렸다.

이날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예담대 잔액은 지난 11일 기준 6조140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6조504억원)과 비교하면 약 열흘 만에 897억원 급증했다. 5대 은행 예담대 잔액은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증가세다. 한 은행 관계자는 “스트레스 DSR 시행을 앞두고 선수요가 몰려 6~8월 월평균 신규 취급액이 1~5월보다 15%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필요할 경우 규제지역 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추가 규제를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고가주택을 신고가로 거래하고 철회하는 등 인위적으로 주택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시장 교란 불법행위를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3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