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호응했다더니…대남 확성기 40대 중 철거 1대뿐

본문

17551019528042.jpg

13일 군에 따르면 북한은 대남 확성기 40여대 중 2대만 철거했고 1대는 곧바로 복구했다. 지난 11일 경기도 파주 접경지역에서 본 북한 임진강변에 대남 확성기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대북 유화 조치로 이달 초 최전방의 대북 확성기를 전면 철거한 뒤 “북한군도 대남 확성기를 철거 중”이라고 밝힌 가운데 실제로 북한이 거둬들인 확성기는 1대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9일 2대의 대남 확성기를 철거했다가 곧바로 1대를 되돌려 놨다. 사실상 1대만 철거한 것으로, 이후 13일 오전 현재까지 추가적인 철거 동향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한다. 군은 북한군이 설치한 대남 확성기를 40여 대로 파악하고 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4~5일 남측 최전방 24개소에 설치한 고정형 대북 확성기를 모두 철거했다. 군 당국은 이어 9일엔 “북한군이 오전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는 활동이 식별됐다”고 발표했다. 주말인 데다 오전에 발생한 동향을 불과 몇 시간 만인 같은 날 오후에 즉각 발표한 건 이를 우리 측의 긴장 완화 조치에 대한 즉각적 호응으로 본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 대통령도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이를 직접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대북 확성기를 우리가 철거하고 있고, 전체인지 아닌지 모르지만 북측에서도 일부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한다”며 “이렇게 상호적 조치를 통해 남북 간 대화와 소통이 조금씩 열려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제한적이나마 북한이 호응한 만큼 이를 긍정 평가한다는 뜻으로 읽히는 발언이었다.

하지만 정작 북한은 확성기 40여대 중 2대만 철거했고 그나마 한 대는 곧바로 복구한 사실이 드러나자 정부의 평가와 공식 발표가 너무 성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남북 간 긴장 완화에 중점을 둔 나머지 북한의 철거 동향에 과도하게 의미 부여를 한 것 아니냐는 불필요한 오해도 살 수 있는 대목이다. 이는 공식 발표 전 우선 상황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북한의 의도부터 먼저 면밀히 분석했어야 한다는 아쉬움으로도 이어진다.

다만 군 관계자는 이날 “북한군이 9일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는 활동이 식별된 바 있다”고 다시 확인하면서 “북한군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 중”이라고 해 북한이 추가로 확성기를 철거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현재 한·미 을지자유의방패(UFS) 연합연습이 진행 중인 만큼 북한군이 시기를 두고 연합연습이 끝난 이후 대남 확성기를 철수할 수도 있다. 북한은 노광철 국방상 명의 담화 등으로 UFS를 “군사적 도발”이라며 비난해 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8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