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가슴 일장기’ 가렸지만 ‘메달 일장기’ 못 지웠다

본문

독립의 얼 잇는 사람들

17551020619542.jpg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 후 시상대에 오른 손기정 선수. 일장기가 붙은 가슴까지 월계수 묘목을 당겨 안았다. [중앙포토]

“아버지의 메달 국적은 아직도 일본이에요. 제가 살아있는 동안,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백발 어르신의 눈빛이 일순 일렁인다. ‘마라톤 영웅’ 손기정(1912~2002) 선수의 아들 손정인씨다. 올해 82살의 그를 지난 7일 일본 요코하마 자택에서 만났다.

“원망도, 원한도 없어요. 그저 간절한 바람 하나만 있어요. 일본올림픽위원회(JOC)가 아버지 국적을 한국으로 돌려주는 겁니다. 저의 마지막 꿈입니다.”

손기정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2시간 29분 19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거머쥔 지 89년이 지났다. 하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기록상 그의 국적은 일본이다. 국적 반환 요구에 IOC는 2011년 홈페이지에 일본식 이름 손기테이(Son Kitei) 외에 한국인 손기정이란 설명을 추가했지만, 공식 국적은 여전히 일본으로 돼 있다.

금메달을 따고도 가슴팍에 붙은 일장기가 서글퍼 월계수 묘목을 가슴까지 끌어당겨야 했던 ‘슬픈 영웅’의 이야기는 여전히 진행 중인 셈이다.

“아버지는 국적 표기에 대해 공식적인 발언은 하지 않았어요. 지인들에게 ‘일본이 스스로 돌려주길 바랄 뿐’이라고만 했어요. 아버지는 일본 정부에서 포상을 받은 적이 한 번도 없어요. 조센진(조선인)이었거든요.”

손씨는 유리함에서 조심스레 묵직한 청동 투구를 꺼내 보였다. 그리스의 한 신문사가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에게 주려 했던 고대 투구의 모형(레플리카)이다. 원본은 우승 50년 뒤인 1986년에야 손기정에게 전달됐고, 1994년 국가에 기증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보물 제904호). “아버지가 모형 1000개를 만들었어요. 고마운 분들에게 드려야 한다고요.” 손씨가 보유한 투구는 58호로, 그의 집 현관, 태극기 곁에 놓여있다. 그는 연신 손수건으로 유리함을 닦았다.

17551020622013.jpg

손기정 선수의 아들 손정인씨(왼쪽)와 그의 평전을 쓴 데라시마 메이지대 명예교수. 김현예 특파원

1943년에 태어난 손씨는 손기정이 마라톤을 하는 사이 신의주 큰아버지 댁에서 자랐다. 아버지와 재회한 건 한국전쟁 발발 후인 1951년 1.4 후퇴 때다. 손기정은 신의주에 있던 아들과 딸을 데리고 피난을 갔다. 손씨는 아버지와 함께한 서울 안암동 시절의 기억이 지금도 새록새록 하다고 했다. 마라톤 후학을 양성했던 손기정의 집은 ‘합숙소’나 다름없었다. “선수들이 매일 집에서 먹고 자고, 아버지는 (선수들을 위해) 돈을 구하러 다녔어요.”

손씨는 한일 국교정상화가 이뤄진 뒤인 1968년 ‘1호 유학생’ 자격으로 일본 땅을 밟았다.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나는 일본에 가지 않을 수 없었지만, 너는 한국인으로 (스스로) 일본에 가서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한일 관계, 인간관계를 만들라”고 했다고 한다. 그는 손기정이 공부했던 메이지(明治)대에서 유학했다.

“아버지가 메이지대에 간 건 조선총독부 때문이었어요. 달리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일본에 가라고 했어요. 그 때문에 아버지는 돌아가실 때까지 ‘하코네역전(箱根驛傳·매년 초 하코네에서 열리는 일본 최대 대학 육상 경기)에서 뛰고 싶다’고 했어요. ‘내가 뛰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면서요.”

실제로 3년간의 일본 유학 시절 손기정은 매일 밤 검은 옷을 입고 공원을 뛰었다. 언젠가 경기를 뛸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서였지만, 그의 바람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손기정의 아들’로 살아온 손씨의 삶도 평탄치 않았다. 손기정은 회사를 운영하다 파산했다. 정치에 엮이는 것도 싫어했다. 자연스레 적이 많았다. 유학 후 일본에 남은 손씨는 대학가에 불고기 집을 차려 생계를 이어갔다. 이사만 10번 넘게 할 정도로 살림이 넉넉지 않았다. 그는 “손기정의 아들이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세간에서 ‘반일이다’ ‘친일이다’ 할 터라 매사가 조심스러웠다”고 했다.

그 ‘하고 싶은 이야기’를 수십년간 대변해 준 건 일본인 데라시마 젠이치(寺島善一·80) 메이지대 명예교수였다. 『평전 손기정』(2019년)을 쓴 그는 메이지대에서 강연하며 일본에 손기정을 널리 알리고 있다.

데라시마 교수는 1983년 손기정을 처음 만났다. 일본 ‘스포츠와 평화를 생각하는 모임’에 참석한 그는 “스포츠맨은 평화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고 한다. 데라시마 교수는 “차별받은 기억으로 일본에 대해 강한 적개심을 가질 법도 한데, 손기정은 달랐다. 평화를 위해 한일이 연대해야 한다고 했다. 강한 사람이었다”고 했다.

사진도 한장 보여줬다.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보스턴 마라톤에서 우승한 일본 선수 다나카 시게키에게 손기정이 “아시아의 우승”이라고 보낸 축전이었다. 데라시마 교수는 “손기정이 세상을 떴을 때, 일본은 조문은커녕 조화나 조전도 보내지 않았다”며 “일본의 마라톤 금메달리스트라고 하면서도 손기정을 무시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다.

“차별과 고통에도 평화와 민주주의를 이야기해온 손기정은 늘 시대보다 한두발 앞서 있는 인물이었다. 한·일 수교 60주년, 광복 80년을 맞은 올해, 양국 젊은이들이 손기정의 평화 정신을 되새기길 바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6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