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 정부, 인텔 지분인수 추진…‘보약 아닌 극약’ 논란도
-
3회 연결
본문
잡음 커지는 ‘인텔 살리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을 살리기 위해 일부 지분 인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 내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재정난에 빠진 인텔에 내리는 ‘긴급 처방’이 미국 반도체 산업에 약이 될 것인지, 독이 될 것인지에 대해서다.
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텔의 국유화 움직임은 오래가지 못한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미국 정부의 지분 인수로 인텔에 거액의 자금이 수혈되더라도, 인텔의 문제가 그것만으로 완전히 해결되지 않을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이다.
앞서 14일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직접 자금을 투입해 인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인 규모와 조건은 아직 조율 중이다”라고 보도했다. 이 계획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과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의 백악관 면담에서 처음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이어 15일에는 트럼프 정부가 인텔 지분 인수에 반도체과학법(CHIPS) 자금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후속 보도했다.
인텔에 투자한 자산운용사 가벨리펀드의 마키노 류타 애널리스트는 “트럼프는 인텔이 국내 제조업을 확장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을 인수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인텔은 입장을 밝히지 않으나, 트럼프와 면담 후 “미국의 기술과 제조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을 지원하는 데 매우 전념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가 개입할 경우 경영난을 겪는 인텔의 숨통이 상당 부분 트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 1분기 이후 인텔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부문은 분기마다 손실을 내 왔고, 올해 2분기까지 누적 손실 규모가 196억 달러(약 27조2000억원)에 달한다. 인텔은 고강도의 비용 절감과 인력 감축을 시행하는 중이다.
블룸버그는 정부 지분 인수로 자금이 유입되면 인텔의 재정상태가 나아질 수 있으며,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주에 지으려고 계획한 반도체 공장 건설도 탄력을 받을 거라고 전망했다. 오하이오 공장은 2022년 착공 당시만 해도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재정난으로 2030년까지 공사를 연기한 상태다.
그러나 WSJ는 “첨단 칩을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미국 기업인 인텔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현실적”이라면서도 “정부의 지원이 궁극적으로는 인텔과 미국 반도체 산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라고 칼럼을 통해 지적했다. 인텔 파운드리의 기술력·효율성이 떨어짐에도 애플·엔비디아 등이 정부의 관여 때문에 인텔 팹을 사용하게 된다면, 이는 미국 반도체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져 ‘미국의 기술 우위’라는 정부 목표에도 반한다는 거다.
블룸버그도 트럼프 행정부에서 핵심 산업의 기업 경영에 정부 개입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앞서 엔비디아의 대(對)중국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을 허가하는 대가로 해당 매출의 15%를 받기로 했다. 또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허가하는 대신 US스틸의 주요 경영 결정을 좌우할 수 있는 황금주를 받기로 했다.
다만 이번 논의로 립부 탄 인텔 CEO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