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주2일 월 2700만원”에도 의사 구인난…지역병원 초비상

본문

전북 정읍시 A병원 응급실은 요즘 비상이 걸렸다. 근무 의사 6명 중 3명이 한꺼번에 퇴직 의사를 밝히면서 진료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떠나는 3명은 모두 올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해 원래 근무하던 수련병원으로 ‘원대 복귀’를 하려는 전공의다. 사직서를 낸 한 전공의는 “원래 오려는 사람이 별로 없는 자리라 쉽게 구해지지 않을 텐데, 환자들이 피해를 볼까 걱정된다”고 했다.

1년6개월을 넘긴 의·정 갈등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전공의들의 퇴직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해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 중 일부는 ‘응당’(응급실 당직), ‘요당’(요양병원 당직) 형태로 일선 병원에서 일해 왔다. 지난 11일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시작되면서 이들이 썰물처럼 지역 병원을 빠져나가면서 응급실 및 병동의 정상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경남 밀양윤병원은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을 스스로 반납하고 응급실을 폐쇄했다. 응급실 의사 5명 중 3명(전공의)이 동시에 사직해 운영이 불가능해졌다. 이 병원은 밀양 내 유일한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다. 밀양시청 관계자는 “의사 인건비가 크게 오른 데다 새 인력을 구하기도 어려워 더는 응급실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게 병원 측 설명”이라고 전했다.

만성적인 의사 구인난에 시달리던 지역 공공의료원도 비슷한 상황이다. 의정 갈등 초기 사직 전공의를 채용해 버텨왔는데, 이들이 이탈하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12일 충북 청주의료원은 응급실 전담의 2명을 모집하는 공고를 냈다. 1일 24시간 근무 후 4일 쉬는 방식으로, 전문의 면허가 없는 일반의를 뽑는데 월 2200만~2700만원(세전) 급여를 내걸었다. 의료원 관계자는 “전공의에 의존했던 지방 의료원들이 동시에 구인에 나서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17554476424785.jpg

정근영 디자이너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 6월 현재 수련병원을 사직하거나 임용을 포기한 전공의 8110명 중 5501명(67.8%)이 일반의로 취업했다. 한 지방병원 관계자는 “의사 구하기가 워낙 어려워 ‘이 대신 잇몸’ 격으로 전공의를 채용해왔는데, 이들이 한꺼번에 복귀하니 비수도권의 의료 공백이 도로 커질 것”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전공의의 복귀 움직임은 전국적인 의사 구인난으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광주광역시 소재의 한 요양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퇴사로 빈자리가 나자 지방에서 일하던 의사들이 그 자리로 이직하고 있다. 지방 요양병원은 도미노처럼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의료 취약 지역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안정적으로 근무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지역 여건에 맞는 의료 시설을 유지하고 응급·중증 환자는 신속히 전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5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