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천안함 이후 중단된 평양심장병원 건축…15년만에 재추진
-
3회 연결
본문
여의도순복음교회가 2010년 천안함 사태 이후 중단된 평양심장병원 건축을 다시 논의한다.

여의도순복음교회 이영훈 담임목사(왼쪽)가 11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만나 평양심장병원 건축을 재개하는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여의도순복음교회
이영훈 담임목사는 11일 오후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만나 평양심장병원의 건축 재개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평양심장병원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노무현 대통령의 제안으로 여의도순복음교회가 본격 추진했다. 2007년 6월 조용기 원로목사가 개성을 방문했고, 연말부터 병원 건축공사가 시작됐다.
평양심장병원 건립은 민간 차원의 대표적인 대북 인도적 사업으로 꼽힌다. 북한 당국 역시 이 사업에 큰 관심을 보였다. 세계보건기구(WTO)에 따르면 북한 전체 사망자의 33%가 심혈관 질환이 원인이다. 게다가 김일성 일가는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북한에는 심장병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이 없고, 전문 의료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2007년 시작된 평양심장병원 건축은 70% 공정률까지 갔으나, 2010년 천안함 사태가 터지고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전격 중단됐다. 사진 여의도순복음교회
평양심장병원은 지하 1층, 지상 7층에 280개 병상 규모다. 천안함 사태가 터지면서 짓다만 건축물의 형태로 남아 있다. 여의도순복음교회 관계자는 “병원이 완공되면 남측의 의료진과 전문 인력, 원목까지 상주할 계획이다. 의료 혜택 제공과 함께 치유목회 사역도 병행할 계획”이라며 “평양심장병원 건축의 재개는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에 달렸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