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손 잡은 남녀 테니스 스타, 이 조합을 보다니

본문

17557032268972.jpg

규정 변화로 테니스 US오픈 혼합복식 명단이 화려해졌다. 카를로스 알카라스-엠마 라두카누. [AFP=연합뉴스]

“라두카누가 신기에 가까운 리시브로 상대 공격을 받아내면 파트너 알카라스가 환상적인 샷으로 득점했다.”

여자프로테니스(WTA)는 20일(한국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시즌 마지막 테니스 메이저대회인 US오픈 혼합복식 1회전(16강전)과 2회전(8강전) 최고 명장면을 이렇게 묘사했다. 카를로스 알카라스(22·스페인)와 엠마 라두카누(23·영국)가 호흡을 맞춘 혼합복식 조는 이번 대회 초반 최대 관심사였다.

남자 세계 2위 알카라스의 별명은 ‘테니스 왕자’, 여자 35위 라두카누는 ‘테니스 아이돌’로 불리는 최고 스타다. 최근 두 사람의 열애설도 불거졌다. 사실 남녀 단식의 상위랭커가 메이저대회 혼합복식에 파트너를 이뤄 출전하는 건 드문 일이다. 128강부터 시작하는 단식이 체력전인 만큼 혼합복식은 주로 복식 전문 선수들의 경연장이었다.

17557032271073.jpg

규정 변화로 테니스 US오픈 혼합복식 명단이 화려해졌다. 이가 시비옹테크-카스페르 루드. [로이터=연합뉴스]

올해 US오픈은 다르다. 알카라스-라두카누 조 외에도 노바크 조코비치(38·남자 7위)-올가 다닐로비치(24·여자 41위·이상 세르비아) 조, 이가 시비옹테크(24·여자 2위·폴란드)-카스페르 루드(27·남자 12위·노르웨이) 조, 제시카 페굴라(31·여자 4위)-잭 드레이퍼(24·남자 5위·이상 미국) 조 등 남녀 단식 스타들이 대거 출전했다.

17557032273103.jpg

규정 변화로 테니스 US오픈 혼합복식 명단이 화려해졌다. 올가 다닐로비치-노바크 조코비치. [로이터=연합뉴스]

전례가 없는 스타들의 혼합복식 출전은 대회를 주최하는 미국테니스협회(USTA)가 대회 방식을 대폭 손질했기 때문이다. 우선 20만 달러(약 2억8000만원)였던 혼합복식 우승 상금을 100만 달러(약 14억원)로 늘렸다. 경기 일정도 20~21일로 한정해 24일 시작하는 단식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했다. 출전팀은 32개 조에서 16개 조로 줄였다. 주최 측은 “메이저 단식 24승인 조코비치는 네 번만 이기면 혼합복식 우승 트로피도 추가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경기 형식도 한결 간결해졌다. 세트 점수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게임 포인트를 6점에서 4점으로 낮췄다. 2세트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하면 3세트는 10점 타이브레이크로 치른다. 다만 결승전은 1·2세트 게임포인트를 기존대로 6점으로 한다. 실제로 20일 열린 혼합복식 12경기(16강전 8경기, 8강전 4경기) 대부분이 1시간 안에 끝났다.

17557032275559.jpg

규정 변화로 테니스 US오픈 혼합복식 명단이화려해졌다. 오사카 나오미-가엘 몽피스. [EPA=연합뉴스]

달라진 혼합복식은 흥행몰이로 이어졌다. AP는 “지난해 혼합복식 경기장 관중석은 텅 비어있다시피 했으나 올해는 스타를 보러 온 팬들로 북적였다”고 보도했다. 뉴욕포스트는 “1만4000석 경기장이 발 디딜 틈 없었다”고 현장 분위기를 표현했다. WTA는 “코트에 ‘별’이 가득했다. 위대한 선수들끼리 호흡 맞추는 모습을 보기 위해 팬들이 몰렸다”고 전했다.

비판도 있다. 우선 “변화가 종목의 정통성을 훼손한다”는 이유에서다. 체력 부담 없이 하루에 두 경기를 치르는 걸 두고 여자 단식의 카롤리나 무호바(28·12위·체코)는 “시범경기 같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알카라스-라두카누 조, 조코비치-다닐로비치 조 등 기대를 모은 스타 대부분이 1라운드에 탈락했다.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은 복식 전문 선수의 자리를 뺏는다는 우려도 있다. US오픈 혼합복식 3회 우승자 제이미 머리(영국)는 BBC에서 “이미 엄청나게 버는 선수들이 100만 달러(혼합복식 상금)마저 차지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7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