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석유화학 NCC 설비 25% 감축”…업계 “우리끼리 하나”

본문

1755706756255.jpg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 다섯째)이 2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석유화학업계 사업 재편 자율협약식’에 참석해 업계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 장관은 “석유화학 산업이 미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과감하고 신속한 구조 개편만이 유일한 돌파구”라고 말했다. [뉴스1]

“연말까지 각 사별로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제출하라. 무임승차하려는 기업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겠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산업 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밝힌 석유화학(석화) 산업 구조 개편의 원칙이다. 위기에 처한 석화 업계 스스로 구조조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정부가 금융 등 지원책을 풀겠다는 얘기다.

정부가 제시한 방향은 ▶과잉 설비 감축과 고부가 제품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 크게 세 가지다. 구 부총리는 “위기 극복의 해답은 과잉 설비 감축과 근본적 경쟁력 제고”라며 “기업과 대주주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토대로 구속력 있는 사업 재편 및 경쟁력 강화 계획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놓은 나프타분해시설(NCC) 설비 감축 목표는 270만~370만t이다. 현재 증설 중인 시설까지 포함한 국내의 NCC 설비 총규모(1470만t)의 18~25%에 해당한다. 감축 목표는 최근 업계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자율 컨설팅 용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BCG는 현재의 불황이 계속되면 3년 내에 한국 석화 기업의 절반이 도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정관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은 “공급 과잉 시기를 넘을 수 있는 재무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기업과 대주주의 충분한 자구 노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구조조정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번 정부 발표에서 구조조정의 세부 방향이나 구체적인 지원책이 없어 ‘맹탕’이란 비판도 나온다. 업체 간 ‘동상이몽’ 상황에서 현재 유력한 시나리오는 ▶정유사와 석화 업체 수직 통합 ▶석화 업체 간 NCC 설비 통합 운영 ▶석화 업체별 NCC 설비 폐쇄 등이다. 한 석화 업체 관계자는 “지금은 한 회사가 주력 사업을 접거나, 두 회사가 한 회사로 합치는 식의 ‘죽느냐 사느냐’로 내몰린 상황”이라며 “경쟁사와 기싸움을 해야 하는 의사 결정을 ‘기업끼리 알아서 하라’는 식이라 당황스럽다”고 토로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에도 각종 인센티브(혜택)를 제시하며 자율적 사업 재편을 촉구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정부가 이날 당근책을 꺼내들지 않은 건 그동안 석화 기업의 자구노력이 부족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이익을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나 채권은행으로 넘기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산업부 중심으로 중간 이행 점검을 하고 제대로 안 되면 금융위원회까지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금융당국은 21일 5대 시중은행장을 불러 만기 연장, 이자 유예, 신규 대출 등 금융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주주의 자구노력이 전제돼야 금융권도 만기 연장 등 지원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채권단에 차입금 회수 자제도 요청할 계획이다.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에 대한 금융권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30조원대로 이 중 절반가량이 은행권 대출이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정부가 뒤늦게 대책의 첫발을 뗀 수준”이라며 “1차 구조조정이 끝나더라도 고부가가치 제품 등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한 정부와 업계의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정유사와 석화 기업 간의 수직 통합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정부가 세액공제 등의 지원책을 내놓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0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