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89세 참전용사의 당부…"함께 흘린 피 기억하면 한·미 동맹 영원"

본문

한·미는 피로 맺어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입니다. 우리가 함께 한 일을 함께 기억하는 한 두 나라의 관계는 영원히 변할 수 없습니다.

양복을 빳빳하게 다려 입은 노신사는 ‘한·미 동맹의 위기’라는 말에 다부진 표정으로 답했다. 그의 옷엔 한반도와 태극 무늬의 훈장과 배지들이 가득 달려 있었다.

17557596251397.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 참석한 론 트웬티 한국전 참전용사협회(KWVA) 312지부장. 그는 한국에서 왔다는 말에 기자에 말에 두 손을 잡고 “나를 기억해줘서 고맙다”는 말부터 건넸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서 만난 론 트웬티 한국전 참전용사협회(KWVA) 312지부장은 한국에서 왔다는 기자의 말에 두 손을 잡고 “나를 기억해줘서 고맙다”는 말부터 건넸다.

그는 “내가 한국에 갔을 때가 17살이었는데 지금은 89살이 됐다”며 “한 달에 한두 번은 전우들의 장례식에 참석하다 보니 2007년 120명으로 시작했던 우리 지구의 참전용사가 이제 26명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몇 해 전에 얼마 남지 않은 전우들과 마지막이 누가 되든 그 마지막 한 명이 살아있는 한 전우회를 계속 열자고 다짐했다”며 웃어 보였다.

17557596253752.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 올해 보고회엔 한국전에 참전했다가 돌아오지 못한 유가족 500여명이 참석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트웬티는 트럼프 행정부 들어 동맹을 홀대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한다는 말에 “한국 사람들은 우리가 왜 여기에 모였는지를 알면 좋겠다”며 보고회장을 가득 채운 500여명의 유가족을 가리켰다.

그는 “나 같은 전쟁 세대는 얼마 남지 않았지만, 3~4대 손주들은 지금도 돌아오지 못한 가족을 기다리고 있다”며 “우리가 왜 동맹 관계가 됐는지 기억하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남아 있는 한 어떤 정치적 변화가 오더라도 한·미 양국 관계는 가장 강력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7557596255919.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서 켈리 맥키그 DPAA 국장이 유가족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실제 보고회장 곳곳에선 빛바랜 사진을 펼쳐놓고 어린 손주들에게 돌아오지 못한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할머니와 그를 지켜보는 가족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연사가 장진호 전투 등 미군 사망자가 많았던 당시의 처참했던 상황을 설명하자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보고회에서 만난 리처드 딘 한국전 참전용사추모재단(KWVMF) 부이사장은 휴대전화를 꺼내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에 설치된 추모의벽에 새겨진 할아버지의 이름이 찍힌 사진을 자랑스럽게 내밀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삼촌은 한국전에 참전했고, 이 가운데 할아버지는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1755759625819.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 참석한 리처드 딘 한국전 참전용사추모재단(KWVMF) 부이사장이 통곡의 벽에 새겨진 자신의 할아버지의 이름을 가리키고 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삼촌은 한국전에 참전했고, 할아버지는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그는 자신의 할아버지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기념공원 조성을 주도한 인물이다.

딘 부이사장은 “한국 정부가 미국과 함께했던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기억하기 위해 후세대까지 한국 재방문 프로그램에 초청하고 있는 데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세월이 지나고 동맹에 대한 기억이 흐릿해지고 의심을 커질수록 이념과 무관한 인도적 유해송환 등을 확대하는 것이 동맹을 보다 강하게 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한국은 이제 세계 10대 강국으로 부상했고 여기 모인 사람들은 그런 한국의 모습을 누구보다 자랑스럽게 여긴다”며 “한국과의 동맹 모델은 현재 진행되는 우크라이나와 중동에도 그대로 적용돼야 할 가장 모범적이고 강력한 동맹의 표본이자 한반도의 완전한 평화를 이룰 초석”이라고 덧붙였다.

17557596260406.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 올해 보고회엔 한국전에 참전했다가 돌아오지 못한 유가족 500여명이 참석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실제 유해 송환 연례 보고회에 참석한 세스 베일리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은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언급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성명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싱가포르 성명의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협상에 관여할 의지가 있다”고 했다. 북·미는 당시 전쟁 포로와 실종자 유해 수습 및 송환을 공동성명의 주요 항목으로 합의했다.

켈리 맥키그 DPAA 국장은 “아직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과 저의 아버지를 포함해 한국과 함께 싸운 분들의 희생이 70년 넘게 유지해온 철통 같은 한·미 동맹을 형성한 계기가 됐다”며 “양국은 함께 자유를 위해 피를 흘린 것을 계기로 이제 외교·정치·군사·경제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이 모든 요소들이 결합한 새로운 70년 동맹을 열어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17557596262868.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서 켈리 맥키그 DPAA 국장이 본지와 인터뷰하고 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맥키그 국장은 이어 “트럼프 1기 때 김정은과의 회담에서 유해 송환을 핵심 사항으로 합의했고, 당시 문재인 대통령도 적극적으로 호응했다”며 “나는 군인이기 때문에 정치를 잘 모르지만, 이재명 대통령도 인도적 접근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공감대를 넓히고 동맹 관계를 보다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인들이 트럼프 2기 들어 가속화된 무역과 경제 관련 상황을 우려하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강력한 동맹이 바탕이 된다면 모든 분야가 결국 상호 존중의 기반에서 결론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17557596265286.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에서 한 유가족이 한국 재방문 프로그램 참석과 관련 이길현 보훈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올해 보고회의 마지막 세션인 위로 리셉션은 한국의 국가보훈부가 맡았다. 보훈부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의 보훈 철학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권오을 장관의 방미 첫 일정으로 최근 중앙일보 보도로 알려진 흑인 참전 부대인 ‘버팔로 솔져’ 정기총회에 참석한 것도 사각지대를 좁혀가기 위한 보훈 외교의 발전된 모습”이라고 말했다.

보훈부는 이번 보고회 중엔 미국 측과 한국 방문 프로그램의 대상을 확대하고 미송환 용사들의 유가족에 대한 별도 방문 쿼터를 마련하기 위한 실무 논의를 마쳤다. 혈맹의 맺어진 배경을 후대에까지 알리기 위한 조치다.

17557596267478.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알링턴에서 열린 미 국방부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국(DPAA) 개최 유해발굴 연례 보고회의 마지막 세션은 한국 국가보훈부가 맡았다.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가 권오을 보훈부장관의 격려사를 대독하고 있다. 알링턴=강태화 특파원

관련기사

  • [단독]"대통령도 고개숙여 인사" 잊혀진 영웅 '버팔로 솔져'

  • [단독]장진호·흥남철수 떠올리며 울었다…99세 美노병의 당부

  • [단독]102세 독립지사 "日탄압 생생하나, 적으로 둘 필요없다"

권 장관은 대독한 격려사를 통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영웅들의 명예를 지키고 유가족의 아픔을 덜어드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마지막 한 분이 고국의 땅을 밟을 때까지, 그렇게 유가족의 눈물이 마르는 그날까지 결코 멈추지 않고 숭고한 피로 맺어진 동맹을 다져나가는 데 혼신의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2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