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8%p↓, 與 4%p↓…정청래 긍정평가, 李 최고치와 동률 [NBS 여론조사]

본문

17557606772409.jpg

김영옥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10주 만에 60% 아래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1일 발표됐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8∼20일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57%로 집계됐다. 2주 전에 이뤄진 직전 조사(8월 4∼6일)에 비해 8%포인트 내린 수치다. 취임 직후인 6월 2주차 조사에서 53%를 기록한 이후 다시 50%대로 내려왔다. 부정 평가 응답은 33%로 9%포인트 상승했다. NBS 조사에서 이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가 30%대로 올라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령별로 보면 긍정 평가 비율이 크게 줄어든 건 30대(68%→57%)와 60대(64%→47%)였다. 상대적으로 친여권 지지 성향이 강한 40대(77%→70%)는 낙폭이 작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54%→30%)에서 하락이 도드라졌다. 지지 정당을 따졌을 땐 개혁신당 지지층(42%→26%)과 무당층(43%→33%)이 지지율 하락을 이끌었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58%,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7%로 지지율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17557606774315.jpg

김영옥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역시 4%포인트 내린 40%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보다 3%포인트 오른 19%를 기록했다.

당정의 지지율 동반 하락에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 사면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8·15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자 구성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54%로 과반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혀 적절하지 않다’고 답한 강한 부정 응답이 33%에 달했다.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8%에 그쳤다.

17557606776234.jpg

김영옥 기자

사면에 대한 의견은 여권에 우호적인 40·5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부정 여론이 긍정 여론을 압도했다. 20·30대에서 사면 긍정 여론은 각각 28%와 35%였지만, 부정 평가는 54%로 과반이었다. 60대에서도 부정 여론(63%)이 긍정(36%)을 압도했고, 70대는 격차(긍정 29%, 부정 59%)가 더 컸다. 반면 40대에서는 오히려 긍정 여론(49%)이 부정 평가(44%)를 5%포인트 앞섰다. 50대에서는 긍·부정 평가가 47%, 50%로 팽팽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직무수행을 두고는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45%,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37%였다. 45%에 달하는 긍정 평가는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였던 시절 NBS조사에서 받은 최고치(2월 3주차 조사)와 동일한 수치다. 이를 제외한 기간 동안 이 대통령의 대표 직무수행 평가는 대체로 33~36% 사이를 오갔다. 제1야당 국민의힘과의 협치 대신 “내란 세력 척결”을 강조하고 있는 정 대표의 선명성 행보가 진보 진영 지지층에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7557606778192.jpg

김영옥 기자

한편,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하향(강화)하는 세제 개편안에 대해선 반대 46%, 찬성 43%로 엇비슷했다. 연령별로는 반대 응답자가 20∼30대와 60대 이상에선 더 높았지만, 40∼50대에서는 찬성 응답자가 과반이었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4.2%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4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