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Today’s PICK] 고등어 풍년인데 소매가도 펄떡, 왜?
-
3회 연결
본문

‘국민생선’인 고등어 어획량이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로 늘었지만, 가격은 오히려 뛰는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고수온 등으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큰 고등어가 자취를 감추고, 작은 고등어의 어획량만 크게 늘어서다.
21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신선냉장 고등어 산지가격은 올해 7월 기준 ㎏당 5453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1.6% 올랐다. 고등어 소비자가격도 뛰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통계를 보면 이달 20일 고등어(국산 염장·중품) 1손 소매가는 6815원으로 1년 전보다 36.4% 상승했다.
최근 5년 평균값을 나타내는 평년(4088원) 대비로는 67.4% 올랐다.

박경민 기자
통상 고등어 가격이 오르면 어획량 부족을 원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올해는 고등어가 ‘풍년’이다. KMI에 따르면 7월 고등어 어획량은 2만3052t으로 전년 동기보다 94.5% 늘었다. 고등어 풍년 속에서도 가격이 뛴 건 한국인이 선호하는 마리당 300g이 넘는 중·대형 고등어의 품귀 현상 때문이다. 7월까지 잡힌 고등어 중 중·대형어의 비중은 3.6%로 지난해(17%)와 평년(16.2%)대비 크게 감소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고수온의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하고 어군이 분산된 결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생산자물가도 뛰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4% 상승했다. 이 중 농림수산품 지수가 전월 대비 5.6% 올랐다. 2023년 8월(7.2%)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향후 소비자의 주머니 사정이 더 팍팍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