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특검, 국회 사무처 압수수색…영장에 ‘피의자 추경호’ 적시

본문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21일 ‘계엄 해제안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국회 사무처를 압수수색했다. 해당 의혹에 대한 특검팀의 첫 강제수사다. 압수수색영장엔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이 피의자로 적시됐다.

특검팀은 이날 국회 본청 폐쇄회로(CC)TV 영상 및 사무처가 작성한 문건 등을 확보했다. 지난해 12월 3일~4일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이 이뤄지는 상황 전반을 살펴보기 위한 조치다.

앞서 특검팀은 우원식 국회의장과‘계엄 반대’ 입장을 밝힌 김상욱(현 더불어민주당)·조경태·김예지 국민의힘 의원, 백혜련·김성회 민주당 의원,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 등을 참고인 조사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에게도 참고인 조사 협조를 요청했지만 국민의힘 측에선 수사에 반발하며 응하지 않았다.

의혹의 핵심은 추 의원 등 당시 지도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계엄 당일 의원총회 장소를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의원들의 표결을 방해하려 했는지 여부다. 당시 추 의원은 국회 봉쇄 등을 이유로 의총 장소를 국회→당사→국회→당사로 세 차례 변경했고,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18명만이 표결에 참여했다.

추 의원은 전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우 의장과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출입 통제로 국회로 못 들어오고 있으니 의장이 출입 조치를 취해달라’고 했으나, 의장은 ‘여당이 경찰에게 요청하라’고 하면서 요청을 거절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사에 의원들 발을 묶어 표결 참여를 방해하려 했다면, 왜 굳이 의장에게 조치해 달라고 요청했겠나”라고 반문했다.

하지만 특검팀은 추 의원이 계엄 선포 직후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윤 전 대통령과 잇따라 통화한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들과 표결 관련 논의를 했는지 의심하고 있다. 추 의원은 당시 상황에 대한 우려만 있었을 뿐 관련 논의는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비상계엄 선포 당일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계엄 선포문을 받은 기억이 없다’고 밝혀왔던 한 전 총리가 특검 조사에서 이를 시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전 총리는 지난 2월 국회에서 “계엄 해제 국무회의가 될 때까지는 (계엄 선포문이 있었는지)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나중에) 양복 뒷주머니에 (계엄 선포문이) 있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재판에선 “(계엄 선포문을) 언제 어떻게 받았는지 정말 기억이 없다”고 증언했다.

특검팀은 22일 한 전 총리를 세번째 불러 조사한 후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4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