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정부, 인텔 최대주주 됐다…트럼프 "지분 10% 완전소유·통제"

본문

1755926324534.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조추점 일정 발표 행사에서 월드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경영난을 겪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 10%를 미국 정부가 “완전하게 소유 및 통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됐다. 지금까지 인텔의 최대주주는 지분 8.92%를 보유한 미국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정부)이 이제 더 놀라운 미래를 가진 위대한 미국 기업 인텔의 (지분) 10%를 완전히 소유하고 통제한다고 보고하게 돼 큰 영광"이라고 글을 올렸다.

그는 "나는 이 거래를 인텔 최고 경영자인 립부 탄과 협상했다"며 "미국(정부)은 이들 지분에 대해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으며, 현재 주식의 가치는 약 110억 달러(약 15조원)에 달한다"고 적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미국에 큰 거래이자, 인텔에 큰 거래"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텔이 하는 일인 최첨단 반도체와 집적회로를 만드는 것은 우리나라의 미래에 근간"이라며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자"라고 밝혔다.

인텔 역시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 정부가 4억3330만 주의 보통주를 받게 되며, 이는 인텔 지분의 9.9%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이사회 의석이나 기타 지배구조 또는 정보 권리 없이 수동적인 소유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10% 획득은 반도체법(CHIPS Act·칩스법)에 입각해 인텔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따른 반대급부 성격이다.

바이든 행정부 때인 지난해 11월 미 상무부는 최첨단 반도체 역량을 발전시키고 일자리 수만 개를 창출하기 위해 인텔에 최대 78억6500만 달러(약 10조9000억원)의 직접 자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포함해 인텔은 상업·군사용 반도체 생산에 총 109억달러(약 14조7150억원) 규모의 정부 보조금을 받게 돼 있다. 그러나 지난 1월 22억달러(약 3조593억원)의 보조금을 받은 뒤 경영난에 빠지면서 예정했던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연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조추점 일정 발표 행사에서도 인텔이 지분 10%를 미 정부에 넘기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와 같은 거래를 많이 한다"며 "나는 (그와 같은 거래를) 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등 대미 반도체 설비투자에 따른 보조금을 수령하는 기업의 지분까지 겨냥한 듯한 발언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TSMC·마이크론 등 칩스법 보조금을 약속받은 다른 기업에도 '보조금 주고 지분 받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TSMC가 확정받은 보조금은 각각 47억5000만달러, 62억달러, 66억달러다. 현재 각사 시가총액 기준으로 지분을 계산하면 삼성전자 발행주식의 1.6%, 마이크론의 4.5%, TSMC의 0.7%에 해당한다. 보조금은 이들 기업이 약속한 미국 내 투자 규모에 따라 정해졌고, 보조금 집행은 프로젝트 이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급된다, 대부분 아직 미지급 상태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투자를 늘리고 있는 대형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분 확보를 추구할 계획이 없다고 보도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20일 “인텔이라는 기업과 외국인 투자 기업은 상황이 다를 것이라는 일반론적인 예측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