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준 금리 인하 가닥에도…한은 고심 키우는 ‘서울 집값’
-
2회 연결
본문
한은, 28일 기준금리 결정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0%대 저성장 위기에 대응해야 하는 한국은행도 부담을 덜었다. 미 금리 인하로 달러 강세가 수그러들면 통화정책 선택의 폭도 넓어질 수 있어서다. 다만 여전히 높은 수도권 집값과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이 추가 금리 인하를 가로막는 변수다.
2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28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가지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앞서 22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금리) 정책이 긴축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을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기준금리 영향을 많이 받는 2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종가 기준으로 21일 연 3.794%에서 파월 의장 기조연설 이후인 22일 3.709%로 급락했다. 달러 강세도 누그러졌다. 같은 기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의미하는 달러 인덱스는 종가 기준으로 98.62에서 97.72로, 올해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Fed가 다음 달에 기준금리를 내린다면, 한은도 추가 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 있다. 한·미 금리 격차로 인한 자본 유출 위험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1300원 후반대까지 떨어져 있는 달러 대비 원화 값도 다소 오를 수 있다. 그동안 원화 가치 추락은 한은이 금리 인하 결정을 내리는 데 큰 걸림돌이었다.
변수는 부동산이다. 6·27 대출 규제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6월(전월 대비) 6조5000억원에서 지난달 2조2000억원으로 크게 둔화했다. 하지만 서울 일부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여전하다.
대출 규제의 효과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집값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은이 10월까지 부동산 상황을 지켜보며 전략적 금리 동결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창용 한은 총재도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높은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추세적인 안정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신중한 태도였다.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도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머뭇거리게 만드는 이유다.
하지만 지지부진한 성장률을 띄우기 위해서는 과감한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이 필요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도 불구하고 기획재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0.9%로 낮춰 잡았다. 수도권 집값 안정만 확인된다면 한은이 연내 추가 금리 인하에 곧바로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 시점 연기와 별개로 연내 인하는 사실상 확정적이며 한은의 금융안정(부동산)에 대한 확신이 조금 더 필요할 뿐”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미국과 반대로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23일(현지시간) 우에다 총재는 “임금 상승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금 상승으로 물가 상승률이 높아진다면, 이를 막기 위해 일본은행이 연내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시장은 풀이하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