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중단된 스포츠영웅 헌액식, 이면엔 체육회·문체부 갈등
-
2회 연결
본문

지난 1월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스포츠영웅 헌액식. [뉴시스]
대한체육회(이하 체육회)가 매년 진행한 대한민국스포츠영웅 헌액 행사를 올해는 건너뛰기로 했다. 전임 집행부 시절이던 지난해 정부 주무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마찰을 빚은 이후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된 여파다.
스포츠영웅 헌액 행사는 지난 2011년 마라톤 영웅 손기정과 대한민국 국적 첫 올림픽 메달리스트 김성집(역도)을 첫 헌액자로 선정하며 출범했다. 이후 2012년 재정비 기간을 갖고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헌액 대상을 뽑았다. 양정모(레슬링), 김연아(피겨스케이팅), 차범근(축구), 김일(레슬링), 엄홍길(산악), 조오련(수영), 하형주(유도)등 대한민국을 빛낸 스포츠 전설들이 영예를 안았다.
체육회 관계자가 설명하는 헌액 작업 중단의 이유는 “선정 방식 개선 필요성” 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대폭 쪼그라든 예산이 원인이다. 이기흥 전 회장이 문체부와 갈등을 빚은 이후 올해 체육회 예산은 지난해 대비 32.8% 급감했다. 지난해 4388억6700만원이던 예산이 올해는 2951억1100만원으로 줄었다. 1년 새 무려 1437억5500만원이 증발했다.
문체부는 체육회와 관련해 국가대표 훈련 환경 및 처우 개선 등 국제대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예산을 일부 늘린 반면, 생활체육 관련 예산은 대부분 거둬들였다. 체육회를 거치지 않고 경기 단체나 국민체육진흥공단,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배분하는 쪽으로 방법을 바꿨다.
체육회는 지난 2015년 생활체육협의회를 흡수 통합한 이후 10년 넘게 ‘엘리트와 아마추어 통합 스포츠 플랫폼’ 구실을 했다. 하지만 배분 기준이 바뀌며 관련 예산이 대폭 줄자 생활체육부와 청소년체육부를 학교생활체육부로 통폐합하며 허리띠를 졸라맸다. 문체부 관계자는 “생활체육 관련 예산 자체를 축소한 건 아니다”면서 “예산 집행 방식의 효율성을 살펴 정책의 방향성을 정해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13일 123대 국정 과제를 발표했다. 스포츠와 관련해선 ‘2024년 60.8% 수준인 국민생활체육 참여율을 향후 6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최휘영 문체부 장관과 유승민 체육회장이 지난 8일 만나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을 다짐했다. 스포츠계 인사들은 “문체부와 체육회 모두 수장을 바꾸고 새출발한 만큼 전임 집행부 시절의 갈등에 발목 잡혀선 안 된다”면서 “두 단체가 손을 맞잡고 대한민국 스포츠에 가장 실용적인 정책을 수립해 적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